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몇 개인지는 정확히 쓰여 있지는 않지만 조합의 개수가 각각의 곱셈으로 나타난다는
점
을 고려해 보면 수십만 개의 문장을 조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명사가 50개, 부사가 100개, 동사가 100개일 경우 50×100×100=500000이므로 50만 가지의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물론 50만 가지의 문장 ... ...
꽃의 여왕, 장미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장미를 다루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였죠. 하지만 가시가 없는 장미는 병충해에 약하다는
점
때문에 아직도 연구 중이랍니다.생생 인터뷰새로 개발한 품종의 이름은 누가 짓나요?개발한 사람이 꽃잎의 모양이나 색깔 등을 보고 지어요. 얼마 전에 개발한 품종은 복숭아를 연상시키는 꽃잎을 보고 ... ...
소수
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몫과 같기 때문이다. 분모, 분자에 같은 수를 곱해도 몫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소수
점
을 똑같이 옮겨서 바로 계산한다. '분수로 나타낼 수 있는 수'와 '분수의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는 서로 구별된다. 0.75와 같은 소수는 '분수로 나타낼 수 있는 수'다. 분자 혹은 분모가 음수일 때는 분수라고 하지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담겨 있는 세계관까지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엉성해 보이는 정약전의 분류도 이런 관
점
에서 접근해야 한다. 정약전이 자산어보를 쓰게 된 것은 흑산도에 바다생물들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그 이름을 알 수 있는 종류가 적었기 때문이다. 그는 바다 생물들에게 이름을 붙여주고 생김새에서부터 생태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개선됐음을 확인했다. 이 프로그램은 7단계로 이뤄졌는데, 예를 들어 두 음의 차이를
점
차 좁혀 가며 음을 구별하는 능력을 키우는 방식이다. 프로그램을 마친 뒤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의 활동을 측정한 결과 좌뇌의 측두두정엽 영역과 전두엽 영역이 정상 아동과 비슷한 수준으로 ... ...
달 알고 보니 '얼음 공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지금껏 어느 태양계 행성에서도 발견하지 못한 최저 기온(영하 238℃ 이하)을 측정한
점
이다.낮은 온도가 의미하는 바는 크다. 이 정도 낮은 온도에서는 얼음이나 다른 휘발성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디바이너의 책임연구원이면서 로스엔젤레스 캘리포니아대 행성과학과에 재직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해커들을 불러들이는 강한 요인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가장 우려되는
점
은 기술적 허
점
이 아니라 사람에 의한 보안 사고다. 전력회사 직원이 의도적으로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실수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e메일을 열어본다면 재앙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예측이다.하지만 이 같은 우려에도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공학도가 대부분인 제자들은 좋은 아이디어가 떠올라도 프로그래밍상에서 어떤 문제
점
이나 한계가 있겠다는 생각에 포기하기도 하는데, 이 교수는 새로운 시도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 일단 시작을 한단다.하지만 이 교수가 음악을 전공한 사람으로서 과학기술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를 발견한 일은 마이크로RNA의 작용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는
점
에서 큰 의의가 있다.전문가들은 마이크로RNA를 인공적으로 만든 뒤 세포 안에 넣어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도 연구 중이다. 인공 마이크로RNA는 원래 몸속에 존재하는 마이크로RNA처럼 특정 RNA의 특정 부위에만 ... ...
지구촌 일일생활권을 꿈꾸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빨리 흐르면 미처 연소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가 뒤로 빠져버리기 때문이다. 또
점
화 후 연소되는 모든 과정이 완벽히 이뤄지려면 개별 부품 하나하나가 유기적으로 연계돼 있어야 하는데 이를 조율하기가 매우 어렵다.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항공우주추진연소연구실에서는 이런 문제에 ... ...
이전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