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d라이브러리
"
일
"(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뉴욕에서도 인정받은 허준이 박사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지난 11월 6
일
뉴욕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2017 블라바트니크 젊은 과학자상’ 지역 부문 시상식에서 미국 프린스턴고등연구소의 허준이 박사가 물리학 및 공학 분야 대상 ... 허 박사는 대수기하학의 도구로 문제를 해결해 주목을 받았습니다. 허 박사가 다음에 받을 상은 무엇
일
까요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생산된 아톰이에요. 몸의 비율도 맞지 않고 실제 아톰과는 생긴 것도 달라요. 아마
일
본 장난감을 어설프게 따라 만들어서 그럴 거예요. 그런데 똑같이 생긴 수많은 아톰과는 다르잖아요. 개성도 있고 그 당시 우리나라 상황도 알 수 있어 이 장난감이 제 보물 1호랍니다. 저는 분야를 가리지 않고, ... ...
반려견 표정의 시그널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더 집중하기 위해서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후 2015년에는 타케푸미 키쿠수이
일
본 아자부대학교 수의학과 교수도 옥시토신 호르몬을 이용한 실험으로 반려견과 사람의 의사소통에 눈 마주침이 중요하다는 실험 결과를 발표했지요. 뇌의 시상하부에서 생성되는 옥시토신은 호감 가는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를 향해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업데이트를 더 거친 뒤 마고는 계속 우주선 운영을 맡게 됐다. 비밀결사대 대원들은
일
망타진을 당했고, 반란 혐의로 재판정에 올랐다. 하림도 한동안은 엄마를 만날 수 없었다. 민다인 박사도 격리된 채로 오랫동안 조사를 받은 뒤에야 풀려날 수 있었다. 중요한 건 미래였다. “지난 20년간 저는 ... ...
[과학뉴스] 롱패딩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절반 가격 수준이지만 품질이 뛰어나다는 입소문을 타면서 인기를 얻고 있다. 11월 16
일
현재 평창동계올림픽 공식 온라인 스토어에서는 매진으로 구입이 불가능하다. 거위나 오리털 패딩의 보온성이 뛰어난 이유는 뭘까. 거위와 오리는 주로 물에서 생활한다. 물속에서는 공기 중에서보다 더 쉽게 ... ...
[과학뉴스] 인명구조견용 ‘첨단 슈트’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적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 웨어러블 슈트(아래 사진)를 개발했다고 11월 1
일
일
본과학기술진흥기구(JST)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슈트에는 구조견의 움직임이나 심장박동 변화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센서, 초소형 카메라, 마이크,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등이 탑재됐다. ... ...
[과학뉴스] 인공지능, 영화 속 성별 편향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판단할 수 있는 진단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9월 7~11
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자연어 처리의 경험적 방법에 관한 2017년 회의’에서 발표됐다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내렸다. 나노기술연구협의회는 올해 처음 개최한 나노영챌린지의 본상 시상식을 11월 23
일
서울 강남구 라마다호텔에서 개최했다. 나노영챌린지는 나노기술을 활용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아이디어 공모전으로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다. 올해 4월부터 참가자를 모집해 우수한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증가하도록 설계했다”며 “에어카트 아이디어는 연구소 내부에서 무거운 짐을 나르는
일
이 잦았던 동료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대학생 인턴 연구원이 처음 제안해 시제품을 만들면서 실현됐다”고 말했다. 자동문 열고 엘리베이터 이용까지최근 자율주행로봇을 가장 적극적으로 도입하려는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기능과 마찬가지로 학습을 거쳐 여러 신경세포들이 함께 작용해
일
어나는 기억 활동의
일
부라고 생각할 수 있다. 얼굴 인식은 우리가 삶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방추상얼굴영역이 손상되면 친숙한 사람의 얼굴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안면실인증(prosopagnosia)’을 앓을 수 있다. 전 ... ...
이전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