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가먼저?」의 논쟁 "내가 이룩한 것을 가로채려 하다니…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후 런던 타임즈를 비롯한 많은 매체들의 반응은 다음의 말로 요약될 수 있다. 과학자들도
결국
엔 역시 인간이다(Scientists are human after all).그러나 이 말의 액면그대로 과학자의 우선권다툼을 개별 과학자들의 이기심이나 경쟁심으로 돌려 버릴 것인가? 그것은 각각의 과학자들에 대해 더 깊이 ... ...
국내 컴퓨터계에 IBM 파문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업체들은 IBM제품과 소프트웨어를 공유할 수 있는 호환기를 만들 수밖에 없었던 것.
결국
IBM은 자사제품의 지배력은 확보했지만 최근 2~3년 사이 호환기들의 공세로 시장점유율이 크게 떨어졌다. 한국산 PC 호환기들도 미국시장에서 맹활약한 바 있다.IBM이 이에 대응하여 내놓은 제품이 PS/2 패밀리. ... ...
대학생들의 인기직장1위 한국전기통신공사는 어떤 곳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민영이었고 일본의 NTT도 30년 가량의 공사체제를 거친 뒤 2,3년 전에 민영화됐다는 것이다.
결국
문제는 민영화가 이루어진 뒤 얼마나 성공적인 변신을 하느냐는 점이라 하겠다. 소기의 목적대로만 된다면 민영화된 전기통신공사는 더욱 인기있는 일류기업으로 건재할 수 있을것이다.1백대1의 ... ...
경영합리화의 맥-MIS 미래의 기업 성패는 「정보력」으로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성공하여 그 순간에 만족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곧 의식의 발전으로 불만의 대상이 되며
결국
에는 기업시스팀이 컴퓨터화된 경지인 MIS에 이를 때까지 도달해야 임직원들이 컴퓨터시스팀에 대해 만족을 느끼게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보시스팀 전체를 보지 않고 그 구성의 일부인 하드웨어나 ... ...
슈퍼노바 1987A에서 온 광자와 중성미자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있다. 그사이 몇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중성미자는 출발시간이 빨랐던 것이다.
결국
중성미자와 광자는 동시에 지구에 도착한것이나 마찬가지이며 이것은 갈릴레오가 피사의 사탑에서 실험한 중력이론을 보다 정밀한 증거로 증명 해준 셈이다.예일대학의'로렌스 크라우스' 교수는 '만약 우리 ... ...
동양권에서는 처음 임신을 가져온 냉동수정란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게 장점이 많다는 얘기다.이제는 수정란을 어떻게 보관하느냐가 과제로 등장한다.
결국
'냉동보존학의 총아'로 알려진 액체질소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수정란의 냉동보관은 난자의 냉동보관보다는 훨씬 쉬운 일이다. 하지만 냉동됐던 수정란을 녹여 사람에게 제공, 임신에 성공한 것은 세계적으로 ... ...
암세포만을 공격하는 가장 효과적인 무기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면제받은 상태를 말한다. 즉 어떤 질병에 걸리지 않게 우리몸이 저항을 한다는 뜻이 된다.
결국
우리 몸이 건강하다는 것은 외부의 도전에 대해 적절하게 면역반응으로 대처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우리 몸에는 면역을 담당하는 조직이 정해져 있다. 이 조직내에는 여러가지 세포가 각기 특유한 기능을 ... ...
자리 바뀐 섬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한뒤 다른 섬들을 발견하고 또 다른 항해를 위해 탐험을 계속했다.콜롬버스는
결국
위대한 아메리카의 영웅이 되었으며 매년 10월 12일(또는 3일 연휴로 하기위해서 이날에 가장 가까운 월요일)을 콜로버스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1992년 10월12일은'과나하니'에 상륙한지 5백주년이 되어 우리들은 ... ...
컴퓨터에세이① 인공지능은 바벨탑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전등을 이용하면 여덟가지, 네집이면 열 여섯가지식으로 2의 지수승만큼씩 늘어 나간다.
결국
32집의 정보를 적절히 조절하면 무려 4기가(4×${10}^{9}$, 40억)개의 서로 다른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다. 즉 기계는 인간으로 이와같이 서로 다른 구별할 수 있는 정보의 집합을 숫자의 행렬로 받아들여 각 ... ...
곧 실용화할 첨단 비행기들 STOL·VTOL·V/STOL의 삼총사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증가하며, 커다란 날개구조로 인해 항공기 무게가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결국
STOL의 개발은 양력계수의 증가와 직결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STOL연구자들은 양력계수가 큰 항공기날개의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개발된 STOL항공기의 양력계수${C}_{e}$의 대략적인 범위는 3~ ... ...
이전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