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덮개
커버
표시
책표지
뚜껑
간판
사인
스페셜
"
표지
"(으)로 총 842건 검색되었습니다.
[
표지
로 읽는 과학]3D 액정 속 카오스 첫 실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0.03.08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6일 입체(3D) 액정에서 일어나는 카오스 현상을 재현한 그림을
표지
에 담았다. 카오스 현상은 예측할 수 없을 만큼 불규칙하고 역동적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나비의 날갯짓이 지구 반대편에서 토네이도를 일으킨다는 '나비효과'처럼 작은 변화가 전혀 다른 큰 결과를 ... ...
[
표지
로 읽는 과학]아마존과 아프리카 탄소 흡수능력을 잃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7
모습을
표지
로 실었다. 아프리카 중서부 지역에 있는 콩코의 열대우림을 촬영한 것이다.
표지
속에 나무가 빽빽하게 자라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콩고 열대우림은 남미 아마존 열대우림 다음으로 전 세계 두번째로 넓다. 약 172만5221㎢(제곱킬로미터)로 이는 한반도 전체 면적에 8배에 해당한다. 그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19 치료제로 떠오른 에볼라 치료제
2020.03.03
뛰어난 효과를 보여 주목을 받았다. ‘네이처’ 2016년 3월 17일자는 논문을 실으며
표지
에 에볼라가 정복됐음을 상징하는 사진을 싣기도 했다. 네이처 제공 여담입니다만 저희 선배 가운데 일련번호가 GS-4104인 분이 있는데 지금은 완전 유명인사죠. 임상시험에 들어가며 얻은 이름은 ... ...
[
표지
로 읽는 과학] 크리스퍼 유전자 교정, 암 정복 위한 '가위손'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3.01
임상을 시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 논문은 앞서 7일 발표됐지만 3주 뒤인 28일
표지
와 뉴스앤뷰 형식으로 소개됐다. 유전자가위는 화학항암제와 표적항암제에 이은 3세대 항암제인 면역항암제를 만드는 데 쓰인다. 면역항암은 사람이 가진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게 하는 기술이다. ... ...
[
표지
로 읽는 과학]금속이 카이랄성을 띠는 순간
동아사이언스
l
2020.02.29
네이처는 27일 금속이 특정 조건에서 '카이랄성'을 띠게 되는 현상을 표현한 그림을
표지
에 담았다. 누 제딕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물리학과 교수팀은 전이 금속을 특정 온도 이하로 냉각시키면 전자들이 스스로 결정형으로 배열되면서 카이랄성을 띠는 현상을 관찰하는 데 성공해 연구 ... ...
[
표지
로 읽는 과학]기후변화가 바꾼 겨울의 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20.02.23
21일 겨울 삭풍을 겪으며 얼음에 덮여버린 ‘버지니아 풍년화’의 모습을
표지
로 실었다. 버지니아 풍년화는 조록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 캐나다 동부와 미국 동부에 분포한다. 5~10m 정도까지 자라나며 잎의 길이는 4~12cm 정도다. 4월 즈음에 꽃이 피고, 검은색의 열매는 8월에 익는다. 북미 ... ...
[
표지
로 읽는 과학] 뒤틀린 신경 키워 성장 발판으로 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22
네이처는 20일 동글동글한 구체 사이로 굽은 가지가 이리저리 뒤엉켜 있는 모습을
표지
에 담았다. 아래 까맣고 동그란 구체는 암세포고 가지들은 인간의 신경세포다. 신경이 암세포 속에서 빠져나오는 것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암세포가 불러모은 뉴런들이다. 모란 아미트 미국 텍사스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혁명과 뉴턴주의
2020.02.20
《백과전서》에는 뉴턴주의와 과학, 기술 등이 많이 소개되었다. 백과전서의
표지
. 위키피디아 제공 지금도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볼테르 식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자생적으로 과학을 꽃피우지 못한 우리 같은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과학이 스며들지 못한 다른 분야에서 과학적으로 ... ...
[
표지
로 읽는 과학]개구리 줄면서 뱀도 멸종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0.02.16
사이언스는 14일 개구리를 잡아먹고 있는 앵무뱀(Leptophis depressirostris)의 사진을
표지
에 실었다. 몸이 거의 다 삼켜져 앞발을 뻗고 있는 개구리가 애처롭다. 하지만 함께 애처롭게 된 이들이 있다. 개구리를 잡아먹고 있는 뱀의 이야기다. 미국 미시간주립대와 메릴랜드대 공동 연구팀은 ... ...
[
표지
로 읽는 과학]결함이 생겨도 잘 작동하는 반도체 레이저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이 두 레이저의 위상적 특성을 이용해 반도체 레이저가 가졌던 문제를 해결했다.
표지
속 그림처럼 두 개의 서로 다른 방향의 광결정 격자들 사이에 삼각형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반도체에 결함이 존재하더라도 테라헤르츠 영역의 레이저를 방출할 수 있는 위상적 특징을 구현했다. 왕 교수는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