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용
이용
사용
활용
어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애프리케이션
뉴스
"
응용
"(으)로 총 2,859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융합연, 핵융합 실증로 극한 환경 견디는 로봇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7
UKAEA는 영국의 핵융합에너지 개발을 담당하는 정부 연구기관이다. 2014년 극한환경원격
응용
기술센터(RACE)를 구축해 극한 환경에서 활용되는 로봇 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해왔다. 핵융합연에 따르면 향후 건설될 핵융합 실증로에는 검사‧교체 등 원격유지보수를 위한 로봇 시스템을 개발하는 ... ...
"아프냐, 나도 아프다"...동료 고통 공유하는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3.27
척추동물에게서 아주 오랜 시간 전해져 왔다는 분석이다. 루이 올리베이라 포르투갈
응용
심리대 교수 연구팀은 동료의 감정이나 행동을 반영하는 공감능력이 어류에게서도 확인됐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2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팀은 사람이나 동물이 동료의 고통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신소재 '맥신'을 합성하는 새로운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3.26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에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찍은 구형 모양의 나노물질 '맥신(MXene)'을 실었다. 주사전자현미경은 ... 직접 합성 방법은 새로운 상과 형태를 만들어 맥신 사용의 경계를 확장하면서도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 ...
[프리미엄 리포트]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
과학동아
l
2023.03.25
거쳐 2016년부터 숙명여대에서 근무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광나노소재 설계 및 관련
응용
기술 개발이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3월, [5년 후, 과학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 ...
우주선과 충돌한 소행성, 태양계 형성 비밀 알려줄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책임연구원 등이 분석에 참여하고 있다. 캐롤린 언스트 미국 존스홉킨스대
응용
물리학연구소 행성과학과 교수는 지난 13일 미국 텍사스에서 개최된 제54회 달 및 행성과학 회의에서 “다트 프로젝트는 큰 성공을 거뒀다”며 “과학적 관점에서 볼 때 보물 창고와도 같다”고 말했다. ... ...
"소재 연구는 오래 걸려...박사급 인력 육성 시급"
동아사이언스
l
2023.03.22
장기 연구가 대부분”이라며 “한번 개발된 소재는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다양한 상황에
응용
될 수 있으므로 단기적인 성과를 재촉하기보다는 장기적인 성과 도출에 힘을 실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패널 토의에 참여한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같은 현장 연구자들의 의견에 공감을 ... ...
[오늘과학] 케이크도 뽑아먹는다...3D프린팅이 여는 미래 식탁
동아사이언스
l
2023.03.22
식품 프린팅 기술은 식용 잉크로 3D 모양의 음식을 만들어내는 적층제조기술의
응용
분야로 미래 식품 생산과 유통 구조를 바꿀 신개념 기술로 꼽힌다. 2005년 미국 컬럼비아 공대가 처음 도입했지만 식용 잉크로 쓸 수 있는 식재료에 제한이 있어 지금까지 초콜릿 등 가벼운 디저트를 만드는 ... ...
기체 이산화탄소 포집 필요없는 탄소중립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22
책임연구원은 “연구결과는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다양한 전기화학적 전환 시스템에
응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이를 위한 연속 공정 실증 및 기업으로의 기술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KIST 제공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연구자가 밝힌 진화생물학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3.19
몸의 색을 비슷하게 유지하며 포식자들의 위험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강창구 서울대
응용
생물화학부 교수는 “눈에 잘 보이는데도 불구하고 위장색에서 경고색을 갖는 방향으로 진화한 것은 진화생물학계 미스터리”라고 말했다. 강 교수팀은 이 같은 미스터리를 풀었다. 16일 사이언스에 알파인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연구진 "노화로 뇌막에 당 쌓인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6
을 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향후 반도체 물질의 구조제어를 활용해 다양한 디바이스에
응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공개됐다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