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69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상 최대 규모 블랙홀 제트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9.21
연구하는 데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마르테인 우이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칼텍)
연구진
등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관측 사상 가장 큰 규모의 제트를 관측한 연구 결과를 1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저주파 전파망원경인 로파(LAFAR)를 사용해 이번 제트를 ... ...
[동물do감] 철새, 어디서 겨울 보내든 에너지 소모량 비슷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9.20
곳에 있을 때 상당한 양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여겼다. 최근 독일
연구진
이 이 통념을 깨트리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독일 막스플랑크 동물 행동 연구소가 이끄는 연구팀은 18일(현지시간) 철새 중 하나인 '검은새(학명 Turdus merula)'가 독일에서 추운 겨울을 견딜 때와 온화한 ... ...
[과기원NOW] 포스텍, 새 촉매로 그린 암모니아 생산효율 63% 개선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20
암모니아 생산 효율을 개선한 포스텍
연구진
. 왼쪽부터 김원배 교수, 맹준범 연구생.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김원배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산소 원소의 빈 공간 조절과 이종 원소 도핑을 통해 그린 암모니아 생산 효율을 높이는 촉매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아르곤(Ar) 플라즈마 ... ...
"소득·교육수준 등 사회 환경 따라 청소년 뇌 발달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9.20
제공 국내
연구진
이 뇌 연결망 데이터를 이용해 청소년의 사회적 환경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다. 고려대는 신은경 사회학과 교수와 석흥일 인공지능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뇌 연결망 데이터를 활용해 청소년의 사회적 환경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는 ... ...
세계 최초 달 뒷면 샘플 채취한 中, 첫 연구논문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활동 등 달의 진화를 연구할 수 있는 직접적인 증거를 제공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연구진
은 앞으로 추가 연구를 계속함으로써 달의 기원 등 기존 가설을 뒤집는 새로운 발견을 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바다에 녹여 제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바다에 녹여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한
연구진
.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이산화탄소를 바다에 녹여 친환경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지구 온난화의 주된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원을 제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황인환‧김민성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포스텍 ... ...
"임신 중 뇌 구조 바뀌어"…산후우울증 원인 밝힐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변화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전망이다.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연구진
을 포함한 공동연구팀은 임신과 출산을 앞둔 여성의 뇌를 정밀하게 스캔한 결과 임신에 따른 호르몬의 변화가 뇌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16일(현지시간) '네이처 신경과학(Nature Neuroscience ... ...
초고가 GPU 없어도 효율적 AI 학습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AI)이 학습하는 모습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
이 고가의 데이터센터급 그래픽처리장치(GPU)나 고속 네트워크 없이도 인공지능(AI) 모델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자원이 제한된 기업이나 연구자들이 AI 연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 ...
도심 에너지원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도시 구현법
동아사이언스
l
2024.09.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너지연)은 신재생시스템연구실, 에너지ICT연구단 공동
연구진
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도시 전기화(Urban Electrification)’를 실현할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도시 전기화는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건물 일체형 태양광 기술 등을 도입해 도심의 ... ...
바닷물이 전기가 된다…해수기반 자가충전 에너지 하베스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9.11
에너지 하베스터 성능 측정을 위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
이 바닷물에 포함된 나트륨 이온의 이동을 이용해 지속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에너지 하베스터’를 개발했다. 일상생활에서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에너지원을 활용해 전기 에너지를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