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이크로폰
마익
월튼
키보드
알유진
요세프컴퍼니
요셉
뉴스
"
마이크
"(으)로 총 570건 검색되었습니다.
불량 없는 스마트 기기 생산속도 빨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17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레이저 분야 권위지 ‘저널 오브 레이저
마이크
로 나노엔지니어링’ 온라인판 최신호에 실렸으며, 국내 기업인 'AST젯택'에 기술이전됐다. ... ...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 ‘올해의 선도과학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07.17
교수를 ‘올해의 선도과학자 펠로십’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김 교수는
마이크
로 RNA 분야의 세계적 여성 생물학자로 신약 및 유전자 치료제 개발 등에 필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김 교수에게는 앞으로 6년 동안 매년 5000만원씩 총 3억원이 지원된다. 이 ... ...
학계 “세계적 나노과학자 잃었다”
동아일보
l
2013.07.06
지금까지 그가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국제 학술지에 게재한 논문만 약 180편.
마이크
로 리보핵산(RNA) 생성 과정을 밝힌 성과로 “국내 과학자 중 노벨상에 가장 근접했다”고 평가받는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44)가 현재까지 발표한 SCI급 논문이 55편이니 서 교수의 역량이 어느 ... ...
죽은 세포는 열을 남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03
위해 새로운 장치를 고안했다. 우선 열을 측정하는 센서 위에 세포를 가두는 방인 '
마이크
로웰'을 설치했다. 그리고 살아있는 HeLa, NIH-3T3 J2, 헤파토사이트 세포와 죽은 헤파토사이트 세포를 주입한 뒤 여기에 나노 크기의 히터를 설치해 열을 방출했다. 세포의 온도값을 분석한 결과 죽은 세포의 ... ...
USB 크기의 칩 하나면 바닷물을 담수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02
자기장이 만들어지면서 물과 염 이온을 서로 분리시키는 것. 이렇게 분리된 담수는
마이크
로 채널을 따라 흘러나와 분당 약 40 나노리터가 만들어 진다. 현재 우리나라에 있는 해수담수화 시설 대부분은 역삼투압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역삼투압 방식은 분리막을 이용해 물과 염을 분리하는 ... ...
레이더로 변신한
마이크
과학동아
l
2013.06.30
변환해 자체 개발한 수학 알고리듬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이 자료를 이용해 벽과
마이크
사이의 거리를 추정한 뒤 3차원으로 복원해, 이를 바탕으로 방의 구조를 정확하게 밝히는 데 성공했다. 베테를리 교수는 “건축을 음향학적으로 설계할 때는 물론, 가상현실을 구현할 때나 소리를 통해 ... ...
3D 프린터 알고보니 도깨비 방망이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6.19
최근 반도체 산업의 발달로 갖가지 전자기기들의 초소형화되는 추세다.
마이크
로 사이즈의 기기를 제작하기 위해선 안에 들어가는 부품들도 작아져야 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배터리. 배터리의 크기를 작게 만들면 기기를 구동할 수 있는 만큼의 전력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이다. 3D프린터로 ... ...
주먹 불끈 쥔 청년벤처들 ‘세상을 향한 외침’
동아일보
l
2013.05.02
5명이 나섰다. 박효태 싱글펫 대표는 외부에서 집 안에 있는 강아지에게 사료를 챙겨주고
마이크
와 스피커를 통해 강아지에게 말도 건네는 장치 ‘싱글펫’을 들고 나왔다. 스마트폰에서 싱글펫 애플리케이션을 열고 ‘meal(식사)’ 버튼을 누르자 곧바로 옆에 있던 장치에서 사료가 나왔다. 강 ... ...
살기 어렵다 비판 말고 나서서 바꿔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어필하는 ‘
마이크
로 패키징’ 차를 소유하지 않고 시간별로 빌려 쓰게 하는 ‘
마이크
로 대여’ 등이 좋은 사례다. 다음은 세계 40억 명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돕는 사회적 공학기술인 ‘적정 기술’이다. 굳이 첨단 기술이 아니어도 적정 기술은 사람을 살리는 기술로 자리 ... ...
과학대중화의 해법은 '과학문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2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 보잉사의 릭 스테판과
마이크
리키 연구원은 교육에 비즈니스적 관점이 필요하다며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STEM 교육에 실용적인 문제 풀이 활동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교사교육센터의 바넷 베리는 교사가 ... ...
이전
53
54
55
56
57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