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뉴스
"
남쪽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화문에서]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외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7
그래서 이젠 아무도 별을 찾으려 들지 않는다. 서울 지도를 펼치면 북한산 자락이
남쪽
으로 내려와 동서로 흐르는 한강을 만나는 교차점에 용산이 있다. 지형으로 보면 용산이 서울의 중심이다. 동아사이언스는 용산에 천체관측관, 천체투영관, 천문공원으로 구성된 과학동아 천문대를 25일 ... ...
순간의 물방울도 머물지 않는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믈라디미르 파피타시빌리 박사는 “아이스큐브는 남극 빙하 아래 있지만
남쪽
과 북쪽하늘로 유입되는 중성미자를 관측해 전 우주를 관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 물리학과 프랜시스 할젠 교수는 ”천문학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 ...
희귀새 솔양진이 독도서 첫 발견
동아일보
l
2013.11.20
종 중 하나로 꼽힌다. 주로 시베리아 등에서 텃새로 분포하며 겨울에 먹이가 부족할 때
남쪽
지역으로 이동하기도 한다. 이 새는 고위도 북반구에 약 400만 개체가 서식하고 있지만 최근 개체가 줄면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할 ‘LC(Least Concern)’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 ...
스웨덴 황태자 방한을 기념한 신라의 고분
동아사이언스
l
2013.11.19
경주동부사적지대(사적 제161호) 일대는 동서로는 안압지에서부터 교동, 남북으로는 월성
남쪽
의 남천에서 현재 고분공원 앞 첨성로에 이르는 광대한 사적지대다. 신라왕경의 중심부였기 때문에 월성 안압지 첨성대 계림 등 중요한 사적이 많을 뿐만 아니라 내물왕릉을 비롯한 수십 기의 고신라 ... ...
신라가 망한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1.13
알이 바로 봉황대라는 소문이 퍼져 봉황대의 이름은 그야말로 유명해졌다. 봉황대
남쪽
에 있는 금령총은 금방울이 장식된 금관이 출토되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적석목곽분의 구조를 처음으로 밝힌 발굴로 의의가 큰 데 분구의 직경은 18미터, 높이 4.5미터로 그다지 크지 않은 고분이다. ... ...
과학기술문화 교류 흔적 고스란히 담긴 무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2
경주동부사적지대(사적 제161호) 일대는 동서로는 안압지에서부터 교동, 남북으로는 월성
남쪽
의 남천에서 현재 고분공원 앞 첨성로에 이르는 광대한 사적지대다. 신라왕경의 중심부였기 때문에 월성⋅안압지⋅첨성대⋅계림 등 중요한 사적이 많을 뿐만 아니라 내물왕릉을 비롯한 수십 기의 고신라 ... ...
한반도에 불교를 들인 이차돈의 순교
동아사이언스
l
2013.11.10
높이 틀어 올린 머리에 보관을 쓰고 있다. 손을 든 자세나 천의를 두른 모습이
남쪽
의 보살과 비슷하나 보존 상태는 좋지 않다. 왼쪽에 선각으로 된 보살상은 6개의 손에 11면의 얼굴을 가진 관음보살이다. 이와 같은 관음상은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다방면의 신통력을 보여주는 주술적인 성격을 ... ...
혜성이 멀리서 찾아오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동아사이언스
l
2013.11.07
이 혜성이 근일점을 돌아서 해로부터 점점 멀어질 것이고, 그러면 그때는 새벽에 동
남쪽
하늘에서 다시 볼 수 있다. 그 때 이 혜성은 지구에서 매우 가까워지기 때문에 맨눈으로도 크게 보일 것이다. 물론 이 혜성이 이상한 녀석이 아니라서 해의 강력한 중력장과 뜨거운 열기를 견디고 살아남는다면 ... ...
7척 장신의 미녀 여왕의 무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바위에 그림을 그렸는데 풍우에 시달려 동쪽 면의 그림은 거의 알아보기 힘들지만
남쪽
면에는 방패모양이라고 불리는 검파형 이외에도 사람 얼굴·돌칼·돌화살촉·꽃무늬·사람발자국·짐승·배·여성 성기 모양 등 30여 점의 다양한 그림이 등장한다. 청동기 시대의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던 ... ...
현대과학이 밝혀낸 선덕여왕의 착각
동아사이언스
l
2013.10.27
이 중 ‘신선사작미륵석상’이란 내용이 발견되어 이 석굴사원이 신선사임이 밝혀졌다.
남쪽
바위 면에도 역시 모양과 크기가 비슷한 입상이 있는데. 마애불상군이 새겨진 이 암벽의 이름은 상인암(上人巖)이다. 7세기 전반기의 불상 양식을 보여주므로 신라 불교 미술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