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달"(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꽃가루의 변신 2] 캡슐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튼튼한 외막은 캡슐로도 활용될 수 있어. 약물을 전달하는 약물 전달체나 바이오센서 등에 쓰이는 마이크로캡슐을 대체할 수 있거든! 꽃가루, 마이크로캡슐로 변신!사람들이 먹는 영양제나 약물, 살충제 등은 지름이 수 ㎛(마이크로미터)인 마이크로캡슐에 싸여 있어. 약물이 쉽게 증발되는 것을 ...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전달했다. 프로젝트 시작부터 매주 한 차례 영상을 보냈고, 지금까지 약 40회 전달했다.현실적으로 현장 관측이 불가능한 지역을 대신 조사하는 역할도 맡았다. 현장 조사는 북극해의 변화를 직접 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영하 40도에 이르는 혹독한 기후 탓에 일부 지역은 연구자의 접근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감자의 변색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돼요. 갇힌 공기는 두 가지 역할을 해요. 우선, 압축된 공기는 빨대와 함께 감자로 힘을 전달해요. 그래서 관통력이 훨씬 좋아지죠. 여기에 더하여 압축된 공기는 빨대를 지탱하는 역할도 해요. 그래서 감자에 빨대를 꽂을 때, 빨대가 꺾이지 않고 박힐 수 있지요. 한 번 감자를 뚫은 빨대는 속으로 ...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것부터 만드는 것까지 일반적인 화가와 작업 방식이 다릅니다. 가장 먼저 관객에게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떠올리는 건 같지만, 작품에 필요한 설치물을 만들 때는 건축가처럼 설계도를 그려야 하고, 이후에는 프로그래머처럼 알고리듬을 만들어야 하죠.2014년 올해의 예술가상을 받은 국내 ... ...
- [매스미디어] 시네마틱 드라마, SF8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이미 원숭이 뇌에 칩을 이식해 뇌파로 컴퓨터를 제어했다고 밝힌 것이다. 이때 뇌파를 전달하기 위한 전극은 머리카락 두께의 4분의 1정도로 얇은 실 형태다. 로봇을 이용해 이런 모양의 전극 수천 개를 뇌에 심으면 많은 데이터를 한 번에 보내고 받을 수 있다.머스크는 2020년 사람에게 직접 테스트할 ... ...
- [융복합파트너@DGIST] 뇌 속 단백질 조절해 지방 줄인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실험에 돌입했다. TSPO 단백질은 띠뇌실막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단백질로, 신경계 정보전달에 관여하는 신경펩티드 분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실험 결과, TSPO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는 쥐는 식욕 억제 증상을 보였다. 음식 섭취량은 적었고, 에너지 소비량과 대사 효율은 높았으며, 띠뇌실막세포 ... ...
- [나의 미국유학일기] 여름방학이라 쓰고 '인턴십'이라 읽는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스팸 링크를 필터링하고, 사이트별로 크롤링이 잘 됐는지 확인해 다른 개발자들에게 전달하는 데이터 처리 기술을 개발했다. 데이터 사이언스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이 접목된 프로젝트 2개를 맡은 덕에 3개월이지만 프로그래밍 실력을 늘릴 수 있었다. 그래도 방학인데, 일만 한 건 아니다. ... ...
-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생겼다. 수면을 억제하는 가바와 신경세포의 결합력은 약해지고, 대신 또 다른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결합하면서 수면이 촉진된 것이다.임 교수는 “여름철 열대야 현상이나 춘곤증 등으로 인한 수면 패턴의 변화를 이해하고, 이로 인한 수면장애를 해소할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 ...
- ADHD, 이제 게임으로 치료한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유사한 중독 효과를 유발할 가능성은 없을까. ADHD는 전전두엽을 활성화시키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분비에 이상이 생긴 질병이기 때문에 환자들이 더 큰 자극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어 중독에 특히 취약하다. 2019년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가 주최한 제4회 ADHD 캠페인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한 ... ...
- [기초과학의 힘] RNA 연구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완벽한 유전체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도착하면 곧바로 분석을 할 수 있는 상태였다”고 말했다. 샘플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전달받았다. 원숭이 신장세포(Vero cell)를 숙주세포로 삼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배양한 것으로, 전파 능력이 없고 생물안전 등급도 2등급을 만족했다.RNA 연구단은 샘플을 받기 2주 전부터 실험 설계에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