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립자
원자에너지
에너지
에네르기
태자
황태자
전자
d라이브러리
"
원자
"(으)로 총 2,51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배출하지 않습니다. 원료가 수소이기 때문에 농축 우라늄의 핵분열 반응(현재
원자
력 발전소의 원리)이 남기는 방사성폐기물 걱정도 없고, 핵융합 반응은 연쇄반응(Chain reaction)이 아니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자연재해가 닥치더라도 위험하지 않습니다. 상용화까지는 극복해야 할 기술적 문제들이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입 안 대고 풍선을 불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간단한 실험을 통해 만들어낼 수 있지요.이산화탄소는 탄소
원자
1개에 산소
원자
2개가 결합한 화합물이에요. 탄산음료 속에 방울방울 녹아 있는 기체가 바로 이산화탄소예요. 또한 조개껍데기에 염산을 떨어뜨리면 조개껍데기의 주성분인 탄산칼슘이 염산과 반응한 결과 이산화탄소가 생기지요. ... ...
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박사학위를 받았 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국가핵융합연구소를 거 쳐 현재 서울대
원자
핵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토 카막 핵융합로 노심 플라스마의 운전과 제어를 연구 중이며, 핵융합의 대중화에도 관심이 많다. 이터 통합 운전 국제전문가 자문 그룹 공동의장을 맡고 있다.▼관련기사를 ... ...
[과학뉴스] 비행기에 그래핀 장갑 끼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미국 라이스대학교 제임스 투어 교수팀은 탄소
원자
가 평평하게 배열된 물질인 ‘그래핀’을 이용해 비행기 날개의 얼음을 없애는 방법을 개발해 발표했어요.비행기 날개에 얼음이 덮이면 날개 표면이 거칠어져 비행 성능이 떨어져요. 이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얼음을 녹이는 화학 물질을 뿌리거나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PLS(플라즈마 라이팅 시스템) 조명탑을 설치했다. 물질이 플라스마 상태가 되면
원자
가 양이온과 전자로 분리되면서 전자가 에너지를 얻어 여기(들뜬) 상태가 된다. 이중 일부는 곧 에너지를 잃고 원래 상태로 되돌아 가는데, 이 과정에서 일정한 파장의 전자기파가 나온다. 플라스마 조명과 대형 ... ...
[Tech&Fun] 광물이야기14_이란에서 온 눈송이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이름에 걸맞지 않게 약간의 회색빛을 띠는 것은 납
원자
가 부분적으로 크롬
원자
로 치환됐기 때문이다.나크할락 백연석의 특징은 나뭇가지형태로 결정이 섬세하게 성장한 그물망(reticulated twin) 모양이라는 점이다. 나뭇가지처럼 여린결정이 모여 육각형 해정(骸晶·skeleton crystal)을 이룬다. 이런 ... ...
[과학뉴스] 그래핀 위에선 전자도 물처럼 흐른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액체처럼 움직인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사이언스’ 2월 11일자에 발표했다.그래핀은
원자
한 층 두께의 2차원 탄소 물질로, 전기전도성이 실리콘의 100배에 이르고 강도가 강철보다 200배 뛰어나다. 하지만 아직까지 물리적인 특성을 완벽히 파악하지 못했다.연구팀은 그래핀이 주위 환경의 영향을 ... ...
[지식] 매스미디어_라플라스의 마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피에르 라플라스의 가설에서 따온 별명이다. 라플라스는 만약 이 세상에 있는 모든
원자
의 위치와 운동량을 알고 있는 존재, 즉 라플라스의 악마가 있다면 뉴턴의 운동법칙을 이용해 과거와 현재를 모두 설명하고 결국 미래도 완벽하게 예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우하라 박사는 겐토의 능력이 ... ...
[과학뉴스] 바이러스 질량까지 재는 센서 개발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1월 27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실리콘 원판인 웨이퍼를 1150℃로 가열할 때 표면
원자
가 이동하는 현상에 주목했다. 이를 활용해 실리콘 웨이퍼 내부에 빈 공간을 만들고, 여기에 산화막을 씌워 수백 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굵기의 실처럼 얇은 튜브형 센서를 만들었다. 이 센서는 마치 ... ...
[Career] 에너지계의 ‘홀드왕’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둔 지금이 우리나라
원자
력에너지 발전에 아주 중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실제로 한국
원자
력연구원은 2020년에 PGSFR 특정설계 승인을 획득하고 2028년에 건설을 완료할 계획이다. 지난 1월엔 PGSFR에 장전할 핵연료 집합체 시제품도 만들었다. 국내 연구진은 목표 달성을 위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