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이시아
에이시아
아세아
동양
동방
오리엔트
아시아개발은행
d라이브러리
"
아시아
"(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녀는 왜 물탱크를 버렸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앞서 말했듯 독극물인 비소는 많은 나라에서 식수를 오염시키는 골칫거리다. 동남
아시아
지역의 지하수에도 비소가 많았는데, 모래 필터로는 걸러낼 수가 없다.독고 교수가 처음 비소 문제를 고민한 것은 2000년이었다. “일본에 있을 때였어요. 방글라데시에 비소 문제를 해결할 멤브레인(막)을 ... ...
PART1. 동해 해저에 거대 화산이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더불어 동해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총 길이 700km이상의 거대한 화산대를 이뤘다. 동
아시아
뿐 아니라 지구 전체에 영향을 미친 거대 분화가 아니었을까? 이렇게 생긴 화산섬도 활동을 멈춘 뒤 파도에 의해 정상부가 깎이고 깎여 바다 밑으로 숨어들었다.마지막으로 해수면에 가장 가까운 화산들은 약 5 ... ...
당신이 뚱뚱한 이유? 성격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같은 사실을 밝혀내고,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학술지 ‘플로스원’ 3월 5일자에 발표했다.
아시아
인에서 성격과 비만의 관련성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일반적으로 살이 찌는 것은 많이 먹고 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 등 생활습관의 영향이 크기 때문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비슷한 생활습관을 ... ...
쓰레기에 신음하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비판적으로 보여준다(74~75쪽 지도).구체적으로 보면
아시아
는 세 곳으로, 모두 동남
아시아
지역이다. 그 중 두 지역이 인도네시아에 속해 있다. 의외로 ‘세계의 공장’으로 오염이 심하다고 알려져 있는 중국은 10위권에 들지 않았다. 다른 지역이 그만큼 더 심각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평균을 내면 냉각효과가 2배 이상 크다. 정철 GIST 환경공학과 교수는 “특히 동
아시아
는 세계에서 가장 초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곳이기 때문에 온난화 효과든 냉각 효과든 다른 곳보다 훨씬 클 것”이라며 “구체적으로 몇 °C가 올라가고 내려가는지 알기 위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 ...
대한민국을 덮친 AI의 정체는? AI 바이러스 수사 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밝혔다. 주장 2 닭·오리가 원인이다?근거 1 좁은 축사에서 면역력 떨어진 닭·오리?동
아시아
-대양주 철새 이동로 협력기구(EAAFP)는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야생조류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지만, H5N8 같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일반적으로 좁은 공간의 자연적이지 않은 환경에서 자라는 ... ...
북극을 누빈 ‘미니’ 티라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번성했다. 다양한 크기와 특성을 지닌 종이 살았으며, 대부분의 화석은 캐나다와 중앙
아시아
남쪽에서만 발견됐다. 고위도에서도 살았는지, 살았다면 어떻게 살았는지 등에 대해서는 그 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다.미국 페롯자연과학박물관 고생물학과 앤서니 피오릴로 박사팀은 알래스카 강 주변 ... ...
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먹었다는 것을 처음으로 보여준 발견이었다. 타르보사우루스는 크기 12~14m로
아시아
에서 발견된 육식공룡 중에서 가장 크다. 크기 4~5m인 갈리미무스는 ‘닭 닮은 공룡’이라는 뜻이지만 생김새는 타조와 비슷해 목이 가늘고 길다.고비사막은 공룡의 천국 타르보사우루스와 함께 가장 많이 발견된 ... ...
인터넷 답답하세요?
아시아
로 오세요!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평균적으로 두 개 이상의 기기를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정도였다. 블룸버그통신은 “
아시아
의 초고속 인터넷이 전 세계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고 전했다 ... ...
마임하는 수학자, 팀 샤르티에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미국을 중심으로 세계 각지에서 100회가 넘는 공연을 해왔어요. 하지만 아직까지
아시아
에서 공연한 적은 없었어요. 그런데 올 여름 한국에서 열리는 융합수학학회인 ‘2014 서울브릿지학회’에서 공연을 하게 되었답니다. 저와 타냐 모두 한국에서의 공연을 무척 기대하면서 새로운 공연을 준비하고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