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설"(으)로 총 2,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방사능벨트가 지구 보호한다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우주선이나 우주인에게 해로운 방사선으로 가득 차있습니다(우주선에 방사선 차폐 시설을 갖추는 이유이지요). 지표면에서 1만9200~2만5600km 떨어져 있는 외대는 주로 메가볼트(MeV) 급의 고에너지 전자로 이뤄져 있는데, 이를 상대론적 전자 또는 킬러 전자라고 부릅니다. 킬러전자라 부르는 이유는 ... ...
- [Life & Tech] 4대강 사업 사망선고를 받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볼 수 있을 뿐이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변공원 연간 총 방문객 수는 424만 명이었는데, 시설 규모에 비해 너무 적으며 도시 지역과 비도시 지역 사이에 편차도 컸다. 일부 지구는 이용객이 거의 없어 아예 조사 장소도 바꿔야 했다. 거의 대부분의 지구에서 사업 타당성을 검증하는 비용편익(B/C ... ...
- [창의] 2화 붉은 벽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중 하나가 바로 지하상가란다. 많은 사람이 들어갈 만큼 넓고, 화장실이나 식당 같은 시설이 이미 갖춰져 있기 때문에 조금만 고치면 충분히 살만한 곳으로 만들 수 있다고 본거지.몇몇 기업이 비밀리에 전국의 지하상가를 벙커로 만들 계획을 세웠단다. 핵전쟁이 일어나면 사람들에게 지하상가를 ...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지난 11월 귀국했다.“가장 큰 문제는 2차 감염이었습니다. 감염자 가운데 상당수가 의료 시설을 찾는 대신 민간요법으로 집에서 에볼라 바이러스를 치료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주변 가족이나 이웃에게 옮는 거죠.” 정 심의관은 ‘숨어있는 환자’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군대와 경찰이 현지의 ...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들어가 식기건조기에서 말려지는 그릇 체험을 했다. 먼지를 모두 날린 뒤 방진 시설에 발을 내딛자 눈앞에 금빛 다층박막 단열재에 포장된 거대한 기계가 모습을 드러냈다.적외선 카메라로 밤낮 상관없이 본다기자가 만난 아리랑 3A호는 다목적실용위성 시리즈의 다섯 번째 위성이다. 우리나라 ... ...
- [Knowledge] 우주 면역력, 비타민이 필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먹어둘 걸 잘못했다. 이런 마음을 읽었는지, 하우스 박사는 신랄하게 말했다.“격리 치료시설에 가지 않은 걸 다행으로 여기게.”대신 하우스 박사는 면역증강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우선 영양분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우주 식단을 짜줬다. 면역력 증강 기능식품인 홍삼도 권했다. 운동도 더 해야 ... ...
- 뜨거운 태양이 연구실에? 인공태양 케이스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보며 박사님으로부터 그 역할에 대한 설명을 들었어요.“케이스타는 크게 다섯 가지 시설로 구분할 수 있어요. 가장 가운데 플라스마를 가두는 토카막주 장치와 토카막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 펌프, 초전도체 자석의 온도를 내리는 헬륨 분배 장치, 토카막 내부의 온도를 높이는 세 개의 ...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또한 오븐 안쪽에 전자기파를 쏘는 전자관을 물로 식히는 시스템이었기 때문에, 배수관 시설이 필요했다. 게다가 가격이 지금의 가치로 5000 달러(약 550만 원)로 비싸서 가정에서는 구입할 엄두도 낼 수 없었다. 하지만 냉동식품을 빠른 시간 안에 해동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레스토랑이나 ... ...
- 원자핵공학과 - 핵융합 에너지 더 이상 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케이블도 방수용을 사용합니다. 전기가 끊길 경우를 대비해 휴대용 발전소나 자가발전 시설을 준비하기도 합니다. 이 정도면 굉장히 안전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죠. 원전을 운영하는 사람이 방심하지만 않는다면 원전은 안전합니다. Q 핵융합 언제쯤 사용 가능할까.과학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 ...
- [생활] 입소문이 만들어낸 맛, 허니버터칩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허니버터칩처럼 ‘꼬꼬면 구하기 전쟁’이 벌어졌었다. 인기에 놀란 회사는 서둘러 시설을 갖추고 라면 생산량을 몇 배 늘렸다. 하지만 판단 착오였다.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꼬꼬면’의 인기는 오히려 금세 시들해져 버렸다. ‘인기밀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사람들이 더 이상 꼬꼬면을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