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속품
부분품
부속부붐
부속물
부대물
재료
부속
d라이브러리
"
부품
"(으)로 총 1,47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한국 생산기술연구원 민군실용로봇사업단장은 “지금까지 만든 로봇은 다른 기계장치의
부품
을 빌려서 만든 것과 마찬가지”라며 “인공근육이 실용화된다면 로봇공학은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내다 봤습니다.사실 ‘인공근육’이라는 개념은 꽤 오래전부터 있었습니다. 과학자들은 ... ...
PART 3 맞춤형 자전거를 찾는 6계명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때문이다. 속도가 빠를수록 공기의 저항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해커진다. 자전거의
부품
을 유선형으로 만들거나, 선수들이 최대한 몸을 숙이고 자전거를 타는 이유도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해서다.공기저항만 없다면 자전거는 사람의 힘만큼 속도를 낼 수 있다. 1995년 미국에서는 바람막이를 한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F-22나 F-35에 비해 가격 면에서 크게 유리한데다 현재 한국군의 주력 전투기인 F-15K와
부품
이나 무기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다.➊ F35 전투기가 공중급유를 받고 있는 모습.➋ 중국이 새롭게 개발한 스텔스 전투기 J-20.➌ 미 공군 병사가 F-22 전투기 아래에서 기체를 점검하고 있다.➍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기존의 검출기보다 감도가 좋다”고 레노의 차이점을 설명했다. 광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
은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했다는 점도 특징이다.레노가 변환상수를 측정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레노의 감도로는 변환상수가 2% 이상일 때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재승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와이어로 힘줄을 대신해 손가락 5개가 제각각 움직인다. 둥근 공이나 막대기, 기계
부품
등 다양한 물건을 미끄러뜨리지 않고 움켜잡을 수 있다.][성균관대 최혁렬 교수 연구팀과 KIST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 덱스트러스 (손가락 형) 방식의 로봇손. 아직 개발 단계이지만 국내에서 가장 성능이 ... ...
꼬마 우주왕복선 시험비행 성공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우주왕복선이다. 하지만 내부에 작은 트럭만 한 크기의 수송 공간이 있어서 위성이나
부품
을 실을 수 있고, 태양광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으며 270일 이상의 장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열 차폐 기능을 갖추고 있어서 지구로 귀환 할 때는 음속의 25배 속도까지 견딜 수 있다.X-37B는 지난 해 4월 22일 ... ...
통합적 사고로 명품 배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선박의 전체적인 모습을 구상하고 설계하는 데 주력했다”며 “앞으로는 선박의
부품
하나하나까지 연구해 가장 안전하고 튼튼한 배를 만드는 기법을 정립하는 것이 우리들의 목표”라는 포부를 밝혔다.종합적 사고력 가진 인재 필요조선업계에선 최근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새로운 산업이 ... ...
Part 2-2. 지금의 시계가 있기까지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거야. 알아두면 시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거야.요즘 사용하는 시계는 예전보다
부품
의 크기는 많이 줄어들어 움직임이 작아져 톱니바퀴가 뭉툭해지는 정도도 아주 적어졌지. 물론 오차도 줄어들었고.시곗바늘 대신 숫자로 시간을 표시하는 디지털시계도 많이 쓰이지? 클락. 네 손목에도 있는 그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불과하다”며 “억지스러운 면이 많다”고 잘라 말했다. 지 교수는 “그래핀을 전자
부품
으로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명한 것은 가임 교수와 김 교수가 2005년 네이처에 동시에 보고한 양자홀 효과”라며 “노벨상 자리가 한 자리 더 늘어나도 더 히에르 교수 차지는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 ...
전후좌우 움직이는 발목을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연구한 조백규 박사가 레이저로 다리의 정렬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로봇은 사람과 달라
부품
이 조금만 비틀어져 있어도 올바르게 걷거나 달릴 수 없다.] 사람과 로봇의 차이 두발로봇 만드는 법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한 가지 실험을 해 봅시다. 차렷 자세로 서 보세요. 그리고 한 발을 들고 남은 한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