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문"(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채 안 되지만, LMB는 ‘노벨상 공장’이라는 별명이 붙은 강한 연구소다. 8월 9일, LMB를 방문했다.과학자들을 연결하는 재료, 커피과학자들의 도시, 케임브리지 외곽에 자리한 LMB는 말끔한 회색 수트를 입은 영국 신사 같은 느낌이었다. 지은 지 3년밖에 안 된 새 건물이었다. 놀랍게도, 약 3127억 원에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필요했다. 브라질의 저명한 곤충학자 워윅 커에게 편지를 보냈다. 그의 실험실에서 방문연구원으로 지내면서 말벌의 행동을 연구하고 싶다고 부탁했다. 커로부터 긍정적인 답장이 돌아왔다. 브라질에서 해밀턴은 현장 연구를 하랴, 포르투갈어를 배우랴, ‘이론 생물학 저널’의 심사 결과에 따라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얼굴을 넣고 보는 광경은 또 다른 세계였다.5일간의 스노클링 일정 중 압권은 마지막 날 방문한 펜룩 섬 해안에서의 하루였다. 3일간 비가 온 터라 뿌연 바다만 봤던 열대해양연구단 앞에 펼쳐진 펜룩 섬의 바닷속 풍경은 실로 놀라웠다. 보라색, 분홍색, 노란색 등 무지개 빛깔의 산호와, 애니메이션 ... ...
- INTERVIEW. "좋은 질문을 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치에하노베르 교수는 ‘지한파’다. 2004년 노벨상 수상 후 한국을 수십 번 방문했고, 서울대 의대 석좌교수로도 활동 중이다. 그는 한국의 연구 문화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었다. “도전적인 과제보다 현재 학계에서 주목받는 주제가 연구비를 받기 유리하다면, 그91게 한국이 노벨상을 받지 못하는 ...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조합론 연구그룹 연구원들과 정기적으로 주제별로 팀을 이뤄 공동연구하고 있어요.방문연구도 즐겨 해요. 다른 수학자를 찾아가서 한동안 머물며 함께 연구하지요. 처음 함께 연구할 때는 서로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서 다양하게 이야기하면서 어떤 연구를 할지 정해요. 문제가 정해지면 토론으로 ... ...
- [창간 기념 이벤트] 수학동아 일곱 번째 생일 파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동굴 안의 사원은 어떤 모습일지궁금하지 않나요?태국 탐사대원들은 차암에 있는 공원도 방문할 예정이에요. 그곳에서 험한 지형에서도 잘 달릴 수 있는ATV바이크도 타고, 말을 타고 달려보기도 할 계획이지요. 또 활쏘기를 비롯한 다양한 태국 전통 놀이와 문화를 체험해 볼 수 있어요. 태국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기록만 남아 있더라도 치아는 여전히 신원 확인을 위한 유용한 증거다. 치과에선 환자가 방문하면 어떤 치아가 남아 있고 어떤 치아에 어떤 치료를 했는지 상세한 기록을 남기는데, 이 정보를 시체의 치아와 비교하면 된다. 예를 들어 진료 기록에 사랑니가 없다고 쓰여 있는데 시체는 사랑니를 ... ...
- [과학뉴스] 절지동물은 부자 동네를 좋아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미국 캘리포니아 과학 아카데미 연구팀은 노스캐롤라이나 주 롤리시에 있는 50가구를 방문해 절지동물을 채집했다. 절지동물은 거미, 곤충 등 다리와 더듬이 등 몸에 붙은 부속지가 마디로 된 동물이다. 연구팀은 카펫이나 다락방 등에 얼마나 다양한 절지동물이 살고 있는지를 조사해 소득,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해왔다고 했다. 사면은 위성으로도 촬영할 수 없어 연구자가 직접 일정한 시기에 맞춰 방문해야만 한다. ‘왕도가 없다’는 말이 크게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낙석이 발생하면 곧바로!만약 독도 사면에 낙석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 그럴 경우 육지에서도 즉시 지반의 변화를 알아차릴 수 있다. 동도 ... ...
- [Tech & Fun] 노르웨이극지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다녔던 남북극 탐사루트를 다니면서 역사서를 쓴다고 해요. 또 지도제작 부서도 방문해볼 만합니다. NPI는 남북극 육상지도를 측량해서 만들고 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때 시작했다고 하니 역사가 50년이 넘네요. NPI에 가면 지도를 제작하는 모든 과정을 생생하게 볼 수 있습니다.여행에 식도락이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