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달"(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관계가 밝혀지고, 체내 대사와 신호전달 과정이 상세히 알려지면서 현대의학도 함께 발달했다. 효과가 뛰어나지만 부작용은 줄인 신약이 등장했고, 병을 비교적 정확하게 살펴볼 수 있는 고해상도 장비도 나왔다.예전에는 천연 물질에서 치료 효과가 있는 성분을 찾아 약으로 만들었다. 하지만 ...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깜짝 놀라게 할 한국형 전자의수가 곧 탄생하기를 기대한다.3D Printing전자공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전자의수의 반응속도가 빨라졌다. 출력도 강력해졌고 배터리의 용량도 커졌다. 하지만 문제가 있으니, 개인이 구매하기에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점이다. 2016년 말에 출시되는 전자의수 ‘루크 암 ... ...
- [Future] 1초를 둘러싼 전쟁, 윤초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시작한 1972년부터 1990년대까지 거의 매 해 윤초가 추가됐지만 그 때는 인터넷이 지금처럼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별 문제가 되지 않았다. 2000년대 초에는 윤초가 2005년, 2008년 총 두 번밖에 없었기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지 못했다. 그런데 2010년 이후부터 2012년과 2015년, 그리고 올해까지 총 3번 ...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1호
- 017년 정유년이 밝았다. 중국과 아시아 등의 한자문화권에서 발달한 ‘십간 십이지’에 따르면, ‘정’은 빨간색이고 ‘유’는 닭을 뜻한다. 올해는 일 갑자(60년)에 한 번 찾아오는 붉은 닭의 해다. 동양 사람들은 옛적부터 붉은 닭을 특별히 여겼다. 미래를 내다보듯 제 시간에 우는 습성은 진리에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수달연구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동물보다 훨씬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는 뜻이지요. 추운 겨울에도 체온을 유지하도록 발달된 거예요.”기다렸던 수달 먹이 주기 시간!수업 후 수달 먹이 주기 시간이 됐어요. 기자단 친구들은 수달이 좋아하는 ‘메기’가 가득 든 양동이를 짊어진 김형후 연구원님을 따라 수달사로 이동했어요 ...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많아지면서 비행기구름도 많아질 뿐만 아니라, 한 번 생기면 잘 사라지지 않고 권운으로 발달할 가능성도 더욱 높아질 거라고 봤다. 미래 대기는 기후변화로 지금보다 온도가 높고 습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CNRS의 올리비에 부셰 박사는 “비행기구름이 안 생기게 하거나 이미 생긴 ... ...
- Epilogue. 미래 인류가 그릴 우주는 어떤 모습일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걸었고, 다양한 거대우주망원경도 몸단장을 마쳤다. 관측과 이론이 지금보다 훨씬 더 발달한다면, 인류가 재구성하는 우주의 모양과 역사는 또 어떻게 바뀌게 될까. 다양한 대안이론에 약간의 상상력을 덧대 ‘미래표준우주모형’을 만들어 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빅뱅이론의 잃어버린 ... ...
- [가상 인터뷰] 백악기에도 새는 노래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높은 고음의 새소리를 낼 수 없답니다.명관은 다른 동물의 발성기관보다 근육이 더 발달되어 있어요. 새가 다채로운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근육 덕분이랍니다. 근육이 줄어들거나 늘어나면서 몸속으로 들어오는 공기를 조절해 소리를 내는 거지요.새가 다양한 소리를 내는 이유는 대부분 ... ...
- Part 3. 우주쓰레기를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우주 개발 선진국이라면 반드시 갖춰야 하는 기술”이라고 강조했어요.과학기술의 빠른 발달로 인간은 우주에 자유롭게 나갈 수 있게 됐어요. 하지만 우주쓰레기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우주개발은 지금보다 훨씬 위험한 일이 될 거예요. 친구들도 우주쓰레기 처리방법을 함께 ... ...
- [도전! 코드마스터] 내 컴퓨터로 복잡한 뇌 구조를 밝힐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그리고 이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의 발달은 ‘집단지성’이라는 개념을 만들었어요. 한 개인의 뇌는 생각이나 기억에 한계가 있어요. 하지만 큰 집단에 속한 개인들이 집단의 목표를 위해 각각 알고 있는 지식이나 갖고 있는 능력을 모으면 어떻게 될까요? 마치 개인이 하나의 뉴런이고, 이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