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d라이브러리
"
면적
"(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여름이 추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오히려 남자보다 추위를 더 느낍니다. 체중 대비 근육과 지방이 많고 부피 대비 피부 표
면적
이 적은 사람, 즉 근육과 지방을 통해 열을 많이 생성하고 피부를 통해 열을 적게 발산하는 사람이 추위를 덜 탑니다. 평균적으로 여성보다 남성이 이런 체형에 더 가깝지요. “여름 실내에서 남자는 에어컨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중에 노출돼 피부가 빠르게 마르게 돼요. 노래주머니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표
면적
이 늘어나면 수분이 더 빠르게 마르지요. 게다가 크기도 작아 몸속에 저장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이 적어요. 즉, 비올 때만 노래하는 것은 조금이라도 수분 손실을 줄이기 위한 청개구리의 생존 방식인 셈이에요 ... ...
해마 꼬리가 사각인 이유 있었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구조물의 내구성을 비교했다. 두 ‘꼬리’에 힘을 가했을 때, 직육면체 구조물은 단
면적
이 30% 가량 줄어들 때까지 버틴 반면, 원통형 구조물은 10% 밖에 버티지 못했다. 직육면체 구조물이 변형에 더 잘 견딘다는 의미다. 포터 교수는 “원에 비해 꼭지점이 적은 정사각형이 더 쉽게 접힌다”며 “현재 ... ...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카셰어링 업체가 주차장 공유를 요청하면 그 지역의 인구 수를 토대로 공유
면적
을 결정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그렇다면 유휴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쓰는 방법은 없을까. 엄상일 KAIST 수리과학부 교수는 “2012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미국 UCLA의 로이드 샤플리 교수와 하버드대 앨빈 로스의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자동차의 속도를 그래프로 그려보면 어떨까요? 시간-속도 그래프에서 그래프 아래
면적
을 모두 더하면 자동차가 달린 거리가 나옵니다. 이건 적분입니다. 미분과 적분이 아주 가까운 사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덧셈을 거꾸로 하면 뺄셈이 나오고 곱셈을 뒤집으면 나눗셈이 나옵니다. 수학적으로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안쪽의 공기는 바깥으로 나가려고 한다. 또 거품 표면에는 물 분자가 서로 잡아당겨 표
면적
을 줄이려는 힘(표면장력)이 있다. 결국 이 힘들이 서로 평형을 이루지 않으면 거품은 금세 터져버리고 만다. 이럴 때 마요네즈를 만들 때처럼 유화제를 넣으면 오랫동안 거품이 무너지지 않는다.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않기 때문이다. 교과서를 보자. 1 A는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은 원형 단
면적
을 가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도체가 진공 중에서 1미터의 간격으로 유지될 때 두 도체 사이에 매 미터당 2×10-7 뉴턴(N)의 힘이 생기게 하는 일정한 전류’라고 돼 있다(국제도량형총회 1948년 기준).무슨 말인지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주로, 1968년에 완성한 세계 최대의 인공섬이에요. 크기가 무려 970km²나 되지요. 서울시
면적
이 600km²인 것과 비교하면 정말 어마어마하게 큰 섬인 셈이에요.플레볼란트 주는 도시와 각종 생활 공간이 들어서면서 인공섬이라는 것을 알 수 없을 정도로 완벽한 육지로 자리잡았어요. 특히 식물 품종 ... ...
광장에 몇 명 모였나? WIFI로 센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광장 내 사람 수를 추정하는 수학 모델을 개발했다고 6월 8일 보도했다.연구팀은
면적
이 약 70m2인 공간을 지정해 실험했다. 공간 양 끝에 2대의 WIFI 신호기를 설치한 뒤 지나다니는 사람 수에 따라 신호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했다. WIFI 신호가 사람 몸에 닿으면 반사파가 생성돼 원래 신호와 서로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논문에서 각질층을 통과할 수 있는 경로로 모공을 제시했다. 하지만 모공이 차지하는
면적
은 전체 피부의 0.1%로, 이 경로가 피부 흡수에 기여하는 바는 매우 적다고 밝혔다.쉽게 망가지는 단백질, 화장품에 넣는 순간 분해모공을 통해서 EGF나 FGF가 통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의문은 쉽게 가시지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