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d라이브러리
"
면역
"(으)로 총 1,45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겨자가스라고도 부른다. 수포가스는 폐를 손상시키고 피부에 심한 화상을 일으킨다.
면역
기능이 떨어져 수 시간 내지 수일내에 사망한다. 생존한다 하더라도 피부암 등 심각한 부작용을 남긴다. 1980년에서 1988년까지 이어진 이란과 이라크전쟁에서 이라크가 사용해 이란과 이라크 병사 3000명이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세포로 분화될 수 있어 손상된 조직이나 기관을 복원할 수 있다. 환자의 세포를 복제하면
면역
거부 반응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무한정 분열하는 특성 때문에 인체에 이식했을 때 암세포가 될 수 있으며, 초기 배아를 만들기 위해 난자 기증이 필수적이어서 난자 채취와 관련한 여러 부작용이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귀에 다시 키웠다. 하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그렇게 로버트는 귀 진드기에 대해서도
면역
력이 생긴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세균을 꿀꺽 마신 과학자, 노벨상을 타다1984년 7월 10일 배리 마셜은 호주 퍼스의 병원에서 예순 여섯 살 환자의 위액을 들이켰다. 신선한 고기에서 나는 것 같은 약한(?) 역한 ... ...
초파리의 구충제는 ‘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해부해 그 안에서 말벌의 유충이 죽어 있는 것을 직접 관찰했다. 이어 초파리 애벌레의
면역
세포가 이 유충을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알코올의 독성 때문에 말벌의 유충이 죽는다는 것도 밝혔다.초파리 애벌레는 알코올에 내성을 가지도록 진화했지만 높은 도수의 알코올은 초파리에게도 위험하다. ... ...
나는 왜 오빠 냄새가 좋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셔츠를 고른다는 것이다. 생물학자들은 이런 현상을 근친교배를 막으면서 보다 다양한
면역
체계를 갖춘 후손을 낳도록 진화한 결과라고 설명한다.내가 오빠 냄새를 좋아하는 이유는 바로 유전자에 있는 것이다. 내 코는 오빠 냄새를 좋아하도록 설계됐다는 의미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디에 있든지, ... ...
브레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항암
면역
작용을 유도해 암을 치료한다. 이 치료법은 환자의 세포를 이용해 환자의
면역
세포를 활성화하는 데 바탕을 둔 것이다. 이 때문에 기존 항암치료와 달리 각 환자에 따른 맞춤치료가 가능하며 부작용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교모세포종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좋은 소식이다.극 중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위해
면역
강화제를 넣는데
면역
계가 강화되면서 정상세포나 조직을 공격하는 자기
면역
강화의 부작용이 일어나기도 한다.하지만 희망은 있다. 지난해 전립선암 치료백신인 ‘프로벤지(Provenge)’가 FDA의 최초 승인을 받았다. 2013년 치료백신으로는 처음으로 유럽에 시판될 것으로 알려졌다. 강창율 ... ...
유리로 다시 태어난 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있어요. HIV는 우리 몸에서 병원균을 제거하는 T 림프구를 파괴해요. HIV에 감염된 사람은
면역
력이 떨어져서 각종 질병에 쉽게 걸려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된답니다. 태양을 닮은 공포의 바이러스사스-코로나 바이러스2002년과 2003년, 전세계에서 유행한 전염병인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도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밝혀졌다. 1950년 독감에 한번 걸렸던 어른들은 1977년 러시아독감이 유행했을 때 이미
면역
이 되어 있었던 것이다.27년이란 긴 간격을 두고도 너무나 똑같은 모습으로 재등장한 이 바이러스를 두고 중국과 러시아의 실험실에서 보관 중이던 바이러스가 유출된 것이 아니냐는 의심이 제기됐다. 독감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과정은 어떤지 추적해
면역
세포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면역
세포의 치료 효과를 가늠하고 더욱 효과적인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정 센터장은 여기에 IT기술을 접목해 연구자가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만들었다. 원격 진단과 치료에도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