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내
내륙
오지
내국
d라이브러리
"
내지
"(으)로 총 1,440건 검색되었습니다.
꿀꺽! 마실 수 있는 연료가 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하면 아무리 손님이라도 내쫓을 수밖에 없어요.”결국 주인에게서 아무 것도 알아
내지
못한 닥터고글과 윤 기자. 이제 어떻게 해야 하나 막막해 하고 있는데 냥냥이 용케도 연료통을 하나 들고 왔다.“냐냐냥 냥냥 냐야~?(주인이 내놓은 연료통을하나 가져 왔어. 잘했지?)순간 닥터고글의 표정이 ... ...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거대강입자가속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8호
해 주기 때문에‘신의 입자’라고 불려요.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아직까지는 찾아
내지
못했지요. 올해 3월에는 CMS검출기를 이용해 힉스 입자가 만들어졌다 붕괴하는 과정을 모의 실험해 보았답니다 ... ...
푸와의 과학올림픽, 금메달은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5호
관중이 다 몰라도 위성항법장치는 어떤 배가 어디를 통과했는지 족집게처럼 알아
내지
. 파이팅! 코리아이 봉 주올해 나이 38세의 국민 마라토너. 이번이 올림픽 마지막 출전이다. 각종 국제 대회에서 우승했지만 올림픽에서는 은메달이 최고 기록. 과연 금메달을 딸 수 있을까?베이베이디자인 : ...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않기 위해 예방접종을 받는다. 하지만 예방접종을 받아도 사람에 따라 항체를 만들어
내지
못할 때가 있다.게다가 여러 차례 접종받아야 하는 백신의 경우 무심코 추가 접종을 받지 않아 제대로 된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백신을 접종받은 뒤에도 안심해서는 안 되며, 전염병에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효과적인 발광소자나 태양전지소자로 쓰일 수 있다. 반면 실리콘은 전류를 흘려도 빛을
내지
못하고 열로 흩어진다.“최근에는 나노구조물을 만드는 연구에서 배열하는 연구로 트렌드가 바뀌고 있습니다. 실제 작동하는 나노회로나 장치를 만들려면 부품이 제자리에 놓여 있어야하기 때문이죠.”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모금을 마시기 위해서 수많은 기계가 작동해야 하고 그만큼 비용도 많이 든다. 돈 한 푼
내지
않고 편히 숨을 쉴 수 있고, 시원한 약수를 얼마든지 마실 수 있는 지구가 얼마나 고마운 곳인지 가르쳐 주는 곳이 바로 ISS다.틈만 나면 지구 보려 창으로 달려가소유스 로켓에 오르기 전부터 가장 ... ...
길 위의 공포, 로드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계속 길을 만들려 하고 동물들은 살 곳이 줄어들어요. 어떻게 하면 되나요?A길을 전혀
내지
않을 수는 없을 거예요. 하지만 없어도 되는 길이 만들어질 때도 많아요. 길을 낼 때 정말 필요한 길인지 백 번이고 천 번이고 다시 생각해서 꼭 필요한 길만 만들어야 해요. 이 땅의 주인은 사람만이 아니라 ... ...
The Will of Alfred Nobel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작품을 남긴 사람에게 줄 것이며, 마지막 부분은 국가 간의 우애 증진과 상비군의 폐지
내지
는 축소 그리고 평화회의의 개최와 진흥에 가장 많은 업적을 남긴 사람에게 주도록 한다.물리학과 화학 분야의 상은 스웨덴 과학아카데미가 수여하고, 생리·의학상 분야의 상은 스톡홀롬 캐롤라인협회에서 ... ...
에너지왕국 구출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내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높죠. 그리고 대기오염 물질, 진동, 소음을 만들어
내지
않아요.하지만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소를 만들 때 화석연료를 쓴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현재는 물을 전기분해해서 수소를 얻으려면 많은 비용이 들거든요. 그래서 화석연료를 쓰지 않으면서 적은 에너지로 값싸게 ... ...
자연 속 하이테크놀러지 새 둥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먹을 것을 찾고 때가 되면 짝짓기를 하고 새끼를 키운다. 배가 부르면 먹이가 있어도 욕심
내지
않고 자신의 새끼가 위험하면 목숨을 걸고 방어한다. 동물의 이런 생태적 특성과 행동양식을 정확히 알고 이를 가감 없이 포착할 수 있는 시각이 바로 동물의 눈높이다. 그 다음은? 바로 ‘기다림’이다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