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성
d라이브러리
"
깊은
"(으)로 총 2,1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내가 돌무더기 속에서 매혹적인 곤충을 발견해도, 어머니는 문 앞의 오물 더미에 버리며
깊은
한숨을 쉬셨다. 곤충을 들여다 볼 시간이 있으면 오리를 키우거나 쟁기로 밭고랑을 파야 마땅하다면서.#3 아, 여기였구나. 바로 앞이었네. 고맙습니다. 그런데 이 박물관에 혹시 곤충학자들이 찾아와서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색깔을 평생 잊지 못할 거예요”해양조사선 ‘라군드림’을 타고 나가서 만난, 보다
깊은
바다는 태평양의 아름다움을 함축해 보여줬다. 일렁이며 햇빛을 반사하는 짙푸른 수면은 마치 고운 비단 같았다. 수평선에 걸린 흰구름과 검은 섬 그림자를 배경으로, 은빛 날치들이 햇빛을 부수며 수면 위를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행성 지구에 돌아왔다.저 구름 너머의 하늘에 펼쳐져 있는 아름다운 우주의 풍경은 마음
깊은
곳에 생생하게 남았다.지구에 누워 우주의 역사를 읽다망원경에서 눈을 떼고 바닥에 누워 하늘을 바라봤다. 밤사이 여행했던 은하들을 하나하나 되짚어 봤다. 초은하단이 서로 연결돼 만들어지는 우주의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또한 마루엽을 가로지르는
깊은
주름이 일부 없다는 점도 발견했지요. 산드라 박사는 “
깊은
주름이 없어 신경세포의 연결이 더욱 활발해졌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하지만 최근에는 보통 사람의 뇌와 거의 차이가 없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들이 많아요. 실제로 아인슈타인 뇌의 총중량은 1230g으로,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구조물을 떼어낸 뒤, 다리를 분해해 원하는 장소까지 배로 이동시킨답니다.수심이
깊은
곳에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흙을 메워서 만드는 인공섬보다 더 많은 장소에 세울 수 있어요. 매립은 고작 수심 20~30m인 바다에서만 가능하거든요. 이에 비해 다리가 달린 인공섬은 무려 수심이 500m가 넘는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있던 좁은 균열이 물에 의해 조금씩 벌어지는 식으로 깎여 나가게 된다. 그 결과 좁고
깊은
협곡이 생긴다. 이 곳의 협곡은 칼바리 국립공원의 협곡과는 비교도 안되게 가파르다. 칼바리의 사암층보다 카리지니의 철광층이 훨씬 단단하기 때문이다.서호주의 철광석은 순도가 높기로 세계적으로 ... ...
바다 밑에서 만난 동화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없던 완전히 새로운 장면을 창조하고 싶습니다. 작품에서 느껴지는 낯선 신비로움은
깊은
바닷속의 자연환경이 없었다면 표현할 수 없었을 겁니다. 수중 전시회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주변을 떠다니는 물고기들이 작품에 오래된 느낌의 녹청을 더해 더욱 독특한 느낌을 낼 수 있었습니다. 적어도 제 ... ...
손에 잡히는 초현실 동물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작품을 만들어냈다. 가장 단순하지만 직관적인 조각법이다. 살아있는 모든 것들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작가는 ‘생명애’를 작품에 꾸밈없이 담아냈다. 낯선 모습의 동물들이 당장이라도 살아 움직일 것 같이 생생하게 느껴지는 건 바로 그런 이유에서다 ... ...
아이돌 매니저의 스타 만들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비슷해 그런 이름이 붙었다. 분홍색 소음은 안정적인 뇌파를 만들어 밤에 들으면
깊은
잠을 잘 수 있다. 클래식 음악과 록 음악도 분홍색 소음으로 돼 있다는 연구 결과가 1975년 11월 27일 미국 과학전문학술지 ‘네이처’에 실리기도 했다.히트곡 예측 공식 발표돼2011년 12월 17일 ‘MML 2011 4차 국제 ... ...
호주 바다에 나타난 ‘마귀할멈’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코가 길게 튀어 나와 있어 생김새가 닮았을 뿐 아니라, 햇볕을 싫어해 1200m보다
깊은
어두컴컴한 바닷속에 살기 때문이에요.마귀상어의 우스꽝스럽게 긴 코는 마귀상어가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기관이에요.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감지할 수 있는 ‘로렌치니 기관’이거든요. 최근에는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