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오래 지배했던 기하학이 어떻게 무너졌느냐가 더 생각할 지점이 많지요. 수학자 :
교수
님 말씀처럼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등장은 기존 기하학 체계를 무너뜨렸다고 볼 수 있지만, 어떻게 보면 기하학의 범위를 넓혔다고도 볼 수 있는데요. 비유클리드 기하학은 수학이라는 학문적 관점에서도 큰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0.1016/S0273-1177(99)80091-X 남세균은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만드는 세균을 일컫는다. 프리드만
교수
는 특히 크루코키디옵시스(Chroococcidiopsis)라는 종의 남세균은 극한 환경에서 잘 버티기 때문에 화성 지표 암석 아래에서도 잘 자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자기장이 없다면 소용없다. 애써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상황이라는 것이다. 또 거대화된 소프트웨어는 탄소를 대규모로 배출할 수 있다. 류
교수
는 “기후변화에 컴퓨터과학도 책임을 져야한다”며 “지속가능성과 민주주의가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에 주요 가치로 상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일방 소통’인 까닭에 원하는 것이 ... ...
[이그노벨상] 세상에서 가장 오래 진행 중인 실험은?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기다려서라도 과학의 가치를 이어나가려는 과학자들의 의지가 담긴 셈이다. 파넬
교수
가 시작한 피치 낙하 실험은 그의 이름을 딴 건물인 파넬 빌딩의 박물관 로비에서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 이 실험의 다음 목표는 열 번째 방울이 떨어지는 장면을 포착하는 것이다. 놀랍게도(혹은 운이 나쁘게도) ... ...
[특집] 열적 메타물질로 불꽃 슈트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적외선에서 태양의 적외선처럼 회전 편향이 발생한다는 걸 알아냈습니다. 제이콥
교수
는 “열적 메타물질이 열 복사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면 열 복사의 전반적인 이해가 커질 것”이라며 “적외선 회전을 조절하게 되면 지금보다 훨씬 정교한 열 센서를 만들어낼 뿐 아니라, 별의 기원을 밝히는 등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를 먹고 두드러기 난 사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증상을 일으킬 수 있어요. 연구에 참여한 미국 아이오와대학교 공중보건학과 피터 손
교수
는 “알레르기와 천식이 있는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더 자주 청소해서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덜 노출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연구팀은 알코올이 포함된 물티슈 등으로 스마트폰을 수시로 닦아야 ... ...
[피플] 제자가 말하는 카파렐리
교수
위대한 수학자이면서 위대한 스승
수학동아
l
2023년 05호
트로피와 함께 상금 750만 크로네(한화 9억 4000만원)를 받습니다. 시상식 기간 카파렐리
교수
연구에 관한 강연이 열리니 관심 있는 분들은 아벨상 유튜브 계정에 들어가 보세요 ... ...
[Reth?nking] 기하학에서 재다의 의미는?
수학동아
l
2023년 05호
: 대상을 잴 수 있게 하는 학문인 기하학은 어떤 발전 과정을 거쳤나요? 수학자 :
교수
님께서 앞서 인류가 무엇을 잴 때 도구를 이용해 세었다가 점차 정확하게 측정했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 기하학의 대상은 점점 더 추상화됐어요. 좌표평면의 도입 이후에 기하학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예로 ... ...
[과학사 극장] 마리 퀴리는 머리가 나빴다?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여성 과학자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이름이 마리 퀴리이다. 여성 과학자가 드물었던 시절에 노벨상을 두 차례나 받은 그는 오늘날까지도 최고의 과학자로 존경받고 있지만, 동시에 여성이라는 이유로 색안경을 쓴 평가가 뒤따르기도 했다. 마리 퀴리를 둘러싼 소문은 어떤 것이 있었을까? 마리 ... ...
[이그노벨상] 벌에 어느 부위를 쏘이면 가장 아플까?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수 없었다. 이것이 2014년, 당시 코넬대학교 대학원생이었던 마이클 스미스 미국 오번대
교수
가 관심을 가진 문제였다. 꿀벌 연구자였던 스미스는 부위에 따라 통증에 얼마나 큰 차이가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직접 벌침에 쏘여가며 통증을 기록하기로 했다. 이번에도 통증의 기준인 양봉꿀벌이 실험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