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미래로 갈 파티원 모집!(1/N) 메타버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미래로 갈 파티원 모집!(1/N) 메타버스Part.1 [특집] 메타버스에서 콘서트, 졸업식, 팬사인회까지?Part.2 [특집] 온라인 수업을 메타버스에서 한다고?Part3. [특집] XR, 가상과 현실을 넘나들다!Part4. [특집] 알쏭달쏭! 디지털 트윈, NFT ...
- 제국의 무덤이 된 지질학 요새, 아프가니스탄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뤄진 로봇공학팀 ‘아프간 드리머스’는 2017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국제 로봇공학 올림픽에서 준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지난해에는 란지나 하미디가 아프간 정부 최초로 여성 교육부 장관으로 선임됐다.그러나 지금 이들은 아프간을 탈출했거나, 탈출하고 있거나, 탈출을 준비 중이다. 미국 ... ...
- [특집] 알쏭달쏭! 디지털 트윈, NFT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컴퓨터, 모바일 컴퓨터가 새롭게 등장하는 데 15년씩 걸린 거죠. 다음 15년째는 2022년이라 공학자들은 지금쯤 새로운 플랫폼이 소개될 때가 됐다고 생각해요. 메타버스는 어디로 튈지 몰라요. 어린이들이 이 새로운 세상을 맘껏 즐기면 좋겠어요. 실제보다 더 많은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을 거예요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산세리프체의 판독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2016년 터키 메르신대 컴퓨터교육및교육공학부 연구팀은 글자의 오탈자를 찾는 참가자들의 눈 움직임을 추적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세리프체를 읽을 때 더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 그럼에도 정확도는 세리프체가 산세리프체보다 떨어졌다. doi: 10.10 ... ...
- [과학동아 x 긱블] 우리 이번엔 좀 진지하다, 영화 ‘업’ 하우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2년 가까이 긱블의 여러 작품을 소개했지만, 이번 작품은 남다릅니다. 우선 이 작품에만 무려 5명의 긱블 메이커가 참여했습니다. 보통은 한두 명, 많아야 세 명이었지만 이번에는 긱블의 거의 모든 메이커들이 합심했습니다. 그만큼 정말 많은 요소가 작품 안에 들어있겠죠.또 하나 남다른 점은 작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너의 떨림을 내게 보여줘!과학동아 l2021년 10호
- 100Hz에서는 굴곡이 많은 곡선 모양으로 나타났습니다. 오주환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물체가 공진해 떨리는 모습인 공진 모드는 주파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며 “220Hz는 랩 위 거울이 시소처럼 왔다 갔다 하도록 만드는 공진 주파수와 가까웠던 것 아닐까 추측한다”고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산업 트렌드 예측하는 데이터 기업이 꿈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정보 보호와 양자컴퓨터를 연구하는 정도영 미래암호공학연구실 선임연구원이다. 9월 2일 그를 만나기 위해 대전에 위치한 ETRI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를 찾았다. ‘날 것’ 상태 데이터 갈고 닦아 가치 높인다“보통 빅데이터라고 하면 이를 바로 분석·활용할 수 ... ...
- [과동프렌즈] 꿈을 찾는 새로운 시작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어린 시절 장난감과 시계, 전자제품을 분해하고 부품을 갖고 놀던 일이었다.“로봇공학자의 꿈을 꾸게 됐죠. 특히 드론에 관심이 많았어요. 드론 동아리 활동을 하며 스스로 공부하고 부품을 구해 나만의 드론을 직접 만들어보기까지 했어요.”드론 레이싱 대회에 출전해 우수한 성적을 거두기도 ... ...
- [통합과학 교과서] 옹당촌에 옹고집이 둘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넓히기 먹을 수 있는 홀로그램?! 2월 17일, 아랍에미리트 칼리파대학교 기계공학부 하이더 버트 교수팀은 먹을 수 있는 재료만으로 무지개 홀로그램을 새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1968년 미국의 과학자 스테판 벤톤이 개발한 무지개 홀로그램은 주로 신분증이나 신용카드에 새겨서 ... ...
- [특집] 고수의 조언 4 기술로 따스함까지 전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싶다”고 말했답니다. 기술로 온기를 전한다?!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나노 및 열공학 연구실 고승환 교수팀은 가상현실에서 온도를 느끼는 전자피부를 개발했어요. 가상현실에서 온도를 느끼려면 물건을 만질 때와 만지지 않을 때의 온도가 달라야 해요. 이를 위해서는 빠르게 식히거나 열을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