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프렌즈] 꿈을 찾는 새로운 시작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어린 시절 장난감과 시계, 전자제품을 분해하고 부품을 갖고 놀던 일이었다.“로봇공학자의 꿈을 꾸게 됐죠. 특히 드론에 관심이 많았어요. 드론 동아리 활동을 하며 스스로 공부하고 부품을 구해 나만의 드론을 직접 만들어보기까지 했어요.”드론 레이싱 대회에 출전해 우수한 성적을 거두기도 ... ...
- [수학뉴스] “올여름 무더위쉼터 어디에?”… 수학이 답한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무더위쉼터의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권상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산업공학과 교수팀이 무더위쉼터의 적절한 입지 선정을 위해 폭염취약계층 인구데이터와 최대 이동 가능 거리, 불쾌지수 등 기상정보, 지역 내 기저질환자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수학 모형을 개발했습니다 ... ...
- [기획] 수학 학습량을 보는 다른 시선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추가 의견도 있었습니다. 덧붙여 학습 부담을 낮추기 위해 교과 단원을 재편하거나 공학적 도구 등을 사용하는 방법을 내놓았습니다. 이런 결과에 대해 교육부는 일본, 중국,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의 10개국을 선정해 수학 교육과정을 분석했고, 설문 조사와 전문가 협의회 등을 통해 얻어낸 결과라고 ... ...
- [기획] 수학 교과과정 개정에 대한 또 다른 의견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실생활 데이터를 활용해서 수학적 모델을 만드는 것처럼, 수학 내용 자체가 지필보다 공학적 도구로 탐구할 때 훨씬 효율적인 내용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도 더불어 제안돼야 할 것입니다. 2 박자현 인천 인제고등학교 수학 교사 “수학 선택과목, 늘리기보다는 질에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너의 떨림을 내게 보여줘!과학동아 l2021년 10호
- 100Hz에서는 굴곡이 많은 곡선 모양으로 나타났습니다. 오주환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물체가 공진해 떨리는 모습인 공진 모드는 주파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며 “220Hz는 랩 위 거울이 시소처럼 왔다 갔다 하도록 만드는 공진 주파수와 가까웠던 것 아닐까 추측한다”고 ... ...
-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연결한 STEAM 수업 주제가 도출된 점이 특히 고무적”이라고 했다. STEAM 수업은 과학, 기술, 공학, 인문, 예술, 수학 등 다양한 분야를 통합해 융합적 사고력을 키우는 교육방식이다. 송태윤 환경과학기술 부사장은 3일간의 교사직무연수를 마치며 “해양데이터 리터러시를 통해 학생들은 데이터에서 ... ...
- [수학뉴스] 새의 알 모양을 설명하는 보편적인 수학 공식 개발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변수를 추가해 이상형 알 모양의 수학 공식을 도출해냈습니다. 난형의 공식은 1948년 독일 공학자 프리츠 휘겔셰퍼가 타원에 초점 하나를 추가해 만든 비대칭 타원의 식입니다. 연구팀은 바다오리 알 같은 이상형 알의 경우 기존의 난형 모양과 달리 장축이 더 긴 타원 부분이 포물선 곡선을 따르는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산세리프체의 판독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2016년 터키 메르신대 컴퓨터교육및교육공학부 연구팀은 글자의 오탈자를 찾는 참가자들의 눈 움직임을 추적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세리프체를 읽을 때 더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 그럼에도 정확도는 세리프체가 산세리프체보다 떨어졌다. doi: 10.10 ... ...
- [통합과학 교과서] 옹당촌에 옹고집이 둘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넓히기 먹을 수 있는 홀로그램?! 2월 17일, 아랍에미리트 칼리파대학교 기계공학부 하이더 버트 교수팀은 먹을 수 있는 재료만으로 무지개 홀로그램을 새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1968년 미국의 과학자 스테판 벤톤이 개발한 무지개 홀로그램은 주로 신분증이나 신용카드에 새겨서 ... ...
- [특집] 고수의 조언 4 기술로 따스함까지 전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싶다”고 말했답니다. 기술로 온기를 전한다?!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나노 및 열공학 연구실 고승환 교수팀은 가상현실에서 온도를 느끼는 전자피부를 개발했어요. 가상현실에서 온도를 느끼려면 물건을 만질 때와 만지지 않을 때의 온도가 달라야 해요. 이를 위해서는 빠르게 식히거나 열을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