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511건 검색되었습니다.
초파리로 파킨슨병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811
일일이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무작위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트랜스포존’이라는
DNA
조각을 사용했다.트랜스포존은 유전자 사이를 자유롭게 움직이며 염기서열 사이에 끼어들어 유전자를 망가뜨린다. 연구단은 이 방법으로 1만 3000개 유전자의 70%(약 9000개)가 변형된 초파리를 얻었다. 연구단의 ... ...
[생물]도파민의 작용 원리
과학동아
l
200811
운반체는 재조합
DNA
를 숙주세포나 다른 생물의 세포에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실제로
DNA
를 복제하는 과정에서는 운반체로 플라스미드와 박테리오파지를 주로 사용한다.- 고등학교 생물II 교과서(나) 폭발적인 인구 증가와 경지면적의 지속적인 감소로 식량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한 새로운 방법들이 ... ...
해파리가 안겨준 형광빛 메달
과학동아
l
200811
교수는 1994년 촉각 수용체 신경세포에서 형광을 내는 선충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먼저
DNA
재조합 기술로 GFP유전자를 선충의 정소세포에 넣는다(1). 수정란(2)이 발생해(3) 성체가 된다(4). 여기에 형광을 비추면 GFP가 만들어진 신경세포에서녹색 빛이 나온다(5).클로닝, 클론*어떤 생명체의 게놈에서 ... ...
스스로 배열하는 ‘똑똑한’ 분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10
쉽지 않다. 그래서 생각한 방법이 인공바이러스다.자기조립으로 초분자를 만든 뒤
DNA
나 RNA 같은 유전 물질을 넣어 세포 내에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 이 단장은 “인공바이러스는 실제 바이러스와 비교하면 아직 원시적 수준이지만 자기복제를 하지 않기 때문에 사람의 몸에 들어가 ... ...
[생물]광학이성질체의 양면성
과학동아
l
200810
난할은 다른 세포분열과 달리 G1기와 G2기가 극히 짧다. G1기와 G2기에서 세포질이나
DNA
를 합성할 때 필요한 물질을 합성하는데 두 시기가 짧아 세포질 합성이 잘 안 일어나므로 세포 크기가 점점 작아진다 ... ...
전기장으로 잠자는 유전자를 깨운다
과학동아
l
200810
자랐다. 도대체 전기장은 씨앗이나 알에게 어떤 변화를 일으킨 것일까.이들 생명체의
DNA
를 조사한 결과 돌연변이가 생긴 것은 아니었다. 대신 유전자가 발현하는 패턴에 변화가 있었다. 즉 오랜 개량과정을 거쳐 잠자고 있던 유전자가 다시 활동했던 것. 사실 진화에서 새로운 유전자가 생기고 안 ... ...
“세균은 은나노를 싫어해~.”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
KIST) 환경기술연구단 상병인 박사팀과 고려대학교 구만복 교수팀이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DNA
, 세포막, 단백질 등이 손상되면 손상된 부위에 따라 특정한 빛을 내는 박테리아를 유전자 조작으로 만들었어요. 그리고 이 박테리아에 은나노 입자를 뿌린 뒤 은나노 입자가 어디를 공격하는지를 ... ...
천하무적 슈퍼항생제
과학동아
l
200809
종류를 알아낼 수 있다. 칩의 A 위치에는 대장균, B 위치에는 콜레라를 검출할 수 있는
DNA
조각이 있는 식이다. 이렇게 박테리아를 검출한 뒤 항생제 내성을 검사하면 슈퍼박테리아도 찾을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양날의 검’ 항생제천하무적 슈퍼항생제꿀벌의 4번째 선물, ... ...
나노막대로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 길 연다
과학동아
l
200809
물론 중합체다. 블록공중합체란 두 가지 이상의 중합체가 서로 연결돼 있는 특별한 경우.
DNA
사슬 한쪽 끝에 RNA 사슬이 붙어있다면
DNA
-RNA 블록공중합체가 되는 셈. 블록 즉 덩어리는 한 가지 분자로 이뤄진 중합체 부분을 말한다. 그런데 왜 굳이 번거롭게 블록공중합체를 만들까? 두 가지 중합체를 ... ...
유기농이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809
나무|304쪽|1만 5000원호박 속에 갇힌 모기의 혈액에서 공룡의
DNA
를 추출한다. 이
DNA
를 토대로 공룡을 재현한다. 영화 ‘쥬라기 공원’의 한 장면이다. 그러나 이것이 허무맹랑한 이야기로만 들리지 않는 이유는 이 영화가 과학적 사실에 바탕을 두고 제작됐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외에도 영화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