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d라이브러리
"
오른쪽
"(으)로 총 1,42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지도, 어떻게 그리는 걸까?
수학동아
l
201104
직선이고 경선은 지구본을 꾹 눌러 펴놓은 것 처럼 곡선으로 돼 있다.또 왼쪽 지도(①)는
오른쪽
지도(②)에 비해 남극이 엄청 크다. 지구본과도 크기가 다르다. 혹시 지도를 그린 사람이 실수한 걸까?가만히 앉아 곰곰이 생각해보니, 지구본과 지도에 그려진 나라의 크기가 각각 다른 것은 이해할 수 ... ...
Part 3. 삼각형으로 지도를 그릴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104
측량 도구를 그대로 바닥에 내려 A 지점에서 시작하는 짧은 직선을그렸다. 다시
오른쪽
으로 5m 정도(약 15걸음) 이동해 그곳을 B라고 표시했다. 같은 방법으로 B 지점에서 시작하는 직선을 그렸다.후후 자꾸만 수평이 흐트러져 선을 긋기가 쉽지 않았지만 두 직선이 만나는 부분이 건물의 정중앙이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04
초전도체내에서 전류를 운반한다고 밝혔다. 이 두 전자를 ‘쿠퍼 쌍’이라고 부른다.(
오른쪽
)그러나 얼어붙은 수은이 절대영도가 아닌 4.2K에서 갑자기 저항이 사라진다고는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다. 처음엔 오네스도 어리둥절했다. 실험 장치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닌가 의심도 했다. ‘측정을 통한 ... ...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04
고정하고 3차원 사진을 찍고 있다.➋ 찍은 사진은 모니터에 나타나는데 고개를 왼쪽,
오른쪽
, 위, 아래로 돌릴 수 있다.➌ ➍ 3차원스캐너는 피해자를 때린 둔기도 알아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두개골에 난 상처의 함몰정도와 크기 등을 마이크로 3차원 스캐너로 분석해 둔기가 벽돌 모서리임을 밝혔다. ... ...
내 별은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04
원효대교 위 하늘을 5분 간격으로 촬영했다. 월식으로 보이지 않던 달이 뜨며(왼쪽에서
오른쪽
방향) 점점 나타나는 과정을 담았다.] [일반 입선 | 우광술 ‘겨울 밤하늘’지난해 11월 18일 제주 와흘목장에서 촬영한 겨울 밤하늘. 어안렌즈를 써 이색적인 느낌을 연출했다. 달나라 계수나무 아래 ... ...
과학이 맺어준 커플
과학동아
l
201103
기쁠 때 입꼬리가 뒤로 올라가고 눈가에 주름이 지는 미소를 짓는다는 것을 밝혔다(
오른쪽
). 이 미소는 사람이 억지로 지을 수 없는 표정이다.]남자라면 유머가 필수다. ‘연애’(원제 메이팅 마인드)의 저자인 제프리 밀러 미국 뉴멕시코대 교수는 뛰어난 유머감각은 그 사람이 가진 유전자의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03
있다.➋ 왼쪽은 매끄러운 대벌레 발바닥의 현미경 사진이고 가운데는 확대 이미지이다.
오른쪽
은 면에 남은 액체의 자국으로 발바닥 전체가 닿았음을 보여준다.] [영국의 과학자 로버트 훅이 1665년 출간한 ‘현미경 보도’에 실린 파리 발 스케치. 훅은 발의 미세한 털이 벽면에 얽혀 파리가 붙어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03
인정받아 ITER 전체 건설비의 약 9%에 해당하는 품목 9개를 제작해 조달할 예정이다.
오른쪽
9개는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라고 여겨지는 기술들이다. 아래는 KSTAR의 내부모습이다. ITER의 20분의 1 크기로 규모만 다를뿐 기능과 성능이 매우 유사하다.] [2020년 후반 우리나라에 제작할 실험용 핵융합 ... ...
차세대 전자부품 초박막 반도체를 칠하다
과학동아
l
201103
전자부품인 구부러지는 반도체를 개발한다. 연구원들이 실험 중 잠시 포즈를 취했다(위).
오른쪽
은 연구팀을 이끌고 있는 고흥조 교수.]“나무젓가락은 딱딱해서 힘을 주면 부러집니다. 하지만 종이는 구부릴 수도, 접을 수도 있죠. 그런데 이상하지 않나요? 나무젓가락과 종이는 모두 나무로 만든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03
네안데르탈인의 화석 발굴지인 스페인 엘 시드론 동굴을 찾은 스반테 패보 박사(
오른쪽
)와 마르코 라실라 박사.] [‘데니소바인’은 2008년 시베리아에서 손가락뼈와 치아 화석으로 발견됐다.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네안데르탈인과 다른 또 하나의 친척 인류로 밝혀졌으며(약 20만~10만 년 전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