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초
플라워
조화
생화
플라우어
flower
d라이브러리
"
꽃
"(으)로 총 1,559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울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005
언덕도 한눈에 들어왔다.앨리스가 붉은 여왕을 보고 가까이 가려 합니다. 그런데 정원의
꽃
들이 그 길이 아니라 다른 길로 가라고 충고합니다. 앨리스는 그 말이 어처구니가 없어 대꾸하지 않고 곧장 붉은 여왕을 향해 걸어갑니다.그런데 이게 웬일인가요? 분명히 붉은 여왕이 있는 방향으로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05
발견할 수 있다. 호주의 봄인 9~11월이 되면 피너클 사막은 호주에만 자생하는 야생
꽃
들로 화려하게 물든다. 서호주 남서부 지방에 사는 6000여 종의 식물 가운데 75%에 해당하는 식물이 호주에서만 서식하고 있다. 태고의 신비를 가득 품은 서호주는 여전히 수천 종의 동식물군이 고립된 환경 속에서 ... ...
신비로운 구름, 오색 채운
과학동아
l
201005
삼가 상서를 청하나이다.” 상서가 시녀를 따라 들어가니 넓은 뜰이 드러나고 신선의
꽃
이 흐드러지게 피었으며, 선녀 세 사람이 백옥루 위에 함께 앉아 있는데… - 김만중의 ‘구운몽’ 중 구운몽(九雲夢)은 ‘홍길동전’과 함께 조선 중기의 소설 양식을 확립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불교 교리를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
과학동아
l
201005
큰그림 보러가기올해는 유난히 봄이 늦다.
꽃
소식도 덩달아 늦어진다. 그러나 흐르는 시간은 막을 수 없다. 산수유와 개나리
꽃
이 피고 목련과 벚
꽃
... 복원하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지만 황복이 살 수 있는 환경을 갖추지 않는다면 이제 복사
꽃
이 피어도 황복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 ...
나만의 발명 어떻게 지킬까
과학동아
l
201005
암흑시기가 끝나고 서양 문명을 다시금
꽃
피운 르네상스가 시작되면서 이탈리아 북부 해안의 도시국가들은 모직물 공업을 중심으로 극심한 경쟁을 벌였다. 이들 국가는 자기네 나라의 모직물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이름난 기술자를 영입하고 경쟁국의 기술을 알아내기 위해 염탐하는 데 많은 ... ...
개굴 개굴 봄이 왔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벌레를 잡아먹는 무시무시한 식충식물도 개구리에겐 훌륭한 휴식처가 되었네요.
꽃
보다 참개구리!참개구리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종류로, 흔히 ‘논개구리’라고도 불러요. 수컷은 턱쪽에 있는 한쌍의 울음주머니를 이용해암컷을 부르는 울음소리를 낸답니다. 배고파요, 개굴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즐거운 감정을 관장하는 측핵 영역(화살표)이 활발하게 활동한다.미남이시네요!드라마 ‘
꽃
보다 남자’의 F4 멤버들의 공통점은? 바로 얼굴의 완벽한 ‘비율’이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의 파멜라 팔렛 교수팀은 눈과 입 사이의 길이가 전체 얼굴 길이의 36%, 두눈동자의 거리가 얼굴 폭의 46%일 ... ...
도형이 제일 쉬웠어요
수학동아
l
201005
국화에서도 확인해 보세요.아! 저기 날아가는 민들레 씨앗이 보이나요? 노랗게 핀
꽃
과 후~ 불면 사방으로 날아가는 씨앗으로 유명한 식물이 바로 민들레죠. 민들레는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아도 수학을 잘 알고 있어요. 민들레는 줄기가 없이 잎이 땅에 딱 붙어서 나요. 그냥 보기에는 삐죽빼죽 난 잎 ... ...
미로를 체험하러 떠나요~!
수학동아
l
201005
유명하다.서귀포 공원 동백나무로 이뤄진 서귀포 미로공원. 10월부터 5월까지는 붉은동백
꽃
을 감상할 수 있다. 미로공원 안 전망대에는 종이 있어 미로를 탈출해 가장 먼저 종을 울리는 사람이 이기는 시합을 할 수 있다. 전망대에 오르면 한라산과 월드컵경기장이 한눈에 보인다.시몬스 야트 영국의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04
총책임자에 오르면서 유명해졌는데, 바로 조 박사가 1960년대에 처음 개척한 길에서
꽃
을 피운 셈이다.조 박사는 연세대와 경희대에서 연구와 후진 양성에 앞장서는 한편,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해 한국 천문학의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의 전신인 국립천문대 건설과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