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d라이브러리
"
필요
"(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20mm 문턱도 넘나드는 로봇청소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않은 곳을 구별할 수 있어야 청소를 깨끗이 할 수 있고 이동 장소를 기억해야 충전이
필요
할 때 원래의 자리로 돌아갈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봇청소기에는 크게 두 가지 센서가 장착됐다. 사람의 눈처럼 물체를 직접 보며 장애물을 피하고 길을 기억하는 ‘카메라 센서’와 위치를 좌표로 바꿔 길을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있다.이 기술을 해류와 조류로 변화무쌍한 바다 속에서 적용하려면 매우 복잡한 계산이
필요
하다. 그러나 새로운 메타물질과 함께 물 흐름까지 제어하는 기술이 완성되면 도깨비처럼 나타났다 사라지는 최강 스텔스 잠수함이 탄생할 것이다.2005년 미국 남부지역을 강타한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인해 ...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이론이 갖던 골치 아픈 난제를 피해간다는점이다. 바로 우주의 시작이 언제인지를 물을
필요
가 없어진다. 우주에는 시작도 끝도 없어진다. 우주상수(또는 암흑에너지)와 관련한 미스터리도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이 이론을 주장한 대표적인 학자인 폴 스타인하르트 미국 프린스턴대 ... ...
PAL-VON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알려졌다. 하지만 팔브이원과 달리 트랜지션은 이착륙을 위한 활주로 길이가 500m나
필요
하다. 겉모습도 경비행기에 4개의 바퀴를 달고 날개를 접은 것 같다. 비행 최대 거리는 팔브이원보다 약 100km 긴 640km에 달하며 지상에서 최고 속도는 시속 105km, 하늘에서 최고 속도는 시속 185km다. 역시 ... ...
화마 잡는 골목대장, 골목소방차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구멍을 낸다 하더라도 내부로 노즐이 들어갈 수 없다. 최소 15cm 이상의 기다란 노즐이
필요
했다. 이 팀장은 “노즐만 길게 늘이면 될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며 “노즐의 지름과 길이를 조금만 바꿔도 이산화탄소나 물 분사에 문제가 생겼다”고 말했다. 이산화탄소는 잘 분출되는데 벽을 뚫는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색 유전자에는 꽃잎에서만 색소를 만들도록 하는 프로모터가 달려 있다. 식물체 전체에
필요
한 물질을 만드는 유전자에는 식물체 전신에서 작동하도록 하는 프로모터가 달려 있다. 꽃잎 색 유전자 앞에 식물 전체에서 작동하는 프로모터만 붙이면 줄기나 잎도 꽃잎처럼 화사한 색을 가진 식물체를 ... ...
나는 과학고로 대학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수학 및 과학 등에 자신의 영재성을 보여줄 수 있는 각종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것도
필요
하다. 면접에서는 자기주도학습 능력, 과학과 수학에 대한 열정 정도, 독서나 봉사활동 등과 관련된 내용 등 다양한 질문을 하기 때문에 소통 능력도 중요하다. 과학창의성전형은 서류평가+과학캠프로 ... ...
사영기하학, 파스칼의 육각형 탐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하는 아쉬움이 있다. 평면도형뿐만 아니라 입체도형에 대해서도 사영 변환을 실험할
필요
가 있다. 여기에 실제 그림을 그려 알아낸 규칙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표현하는 노력이 더해지면 포트폴리오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심화된 내용에 대한 연구 의지를 밝히는 것도 좋다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복합 휴게소 개념으로 디자인한다. 작업장 내부의 공기 순환 장치와 산소통 등도
필요
하다.바닷물 속 달리는 해중터널로 해구와 지진 피한다이제 기본적으로 태평양 터널을 뚫기 위한 이론적·기술적 준비가 끝났다. 무리 없어 보이지만 변수는 있다. 첫 번째 변수는 공사 기간이다. TBM을 사용해서 ... ...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증거를 찾고 크기와 모양을 계산한다. 그안에 사는 생명체의 존재까지 추론한다.
필요
하다면 인류가 그 우주에 방문하거나, 이주할 가능성도 따져본다. 물론 만만한 작업이 아니다. ‘우주 밖’으로 가는 길은 아무도 들여다본 적 없었고, 현재로서는 찾아가볼 방법도 없다. 시인이 말한 것처럼 ... ...
이전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