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효과를 발휘할지 알 수 없지만, 지금까지 항바이러스제(뉴라미니다아제 억제제)는 H5N1이
속
한 인플루엔자 A와 인플루엔자 B 모두에 치료효과가 있었다.아직 감염되지 않았다면 백신을 맞아야 한다. H5N1 백신은 이미 존재한다. 단, 새로운 변이에 맞게 백신을 수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그렇다면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에너지 산업이기에 쉽지 않다.물론 토륨 원전의 한계도 분명히 있다. 황일순 교수는 “가
속
기 방식도 양성자를 쏴서 중성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반감기가 긴 방사성 핵종(장수명 핵종)이 생성된다”며 “대안으로 원자로 방식을 택하면 농축 우라늄이나 플루토늄을 섞어야 한다는 문제가 또 ... ...
사랑을 찾는 동식물의 예술작품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뜨거운 햇볕에 카메라 부품이 녹기도 하고, 칼새가 빛을 싫어해 동굴
속
에 살고 있어 어둠
속
에서 조명도 켜지 못한 채 컴컴한 그림을 찍어야 했고, 비버가 너무 영리한 탓에 미끼인 사과만 여러 개 뺏기고 촬영에는 실패했던 웃지 못할 경험도 모두 담았다. TV에서 동물의 집에 대한 이야기만 볼 수 ... ...
뇌-컴퓨터 접
속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fMRI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뇌파에 비해 정확하다.뇌-컴퓨터 접
속
기술은 발전
속
도를 감안할 때 빠르면 5년 이내에 실용화돼 사지마비 환자의 간단한 의사소통을 도울 것이다. 또 식물인간이나 혼수상태 환자들이 의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별하거나 장시간 수술 중에 환자의 의식이 깨어났는지를 ... ...
하드디스크 읽기/쓰기
속
도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적용돼 그 차이가 2배가 채 되지 않는다.이제 왜 하드디스크의 각 지점의 정보 처리
속
도 차이가 나는지 알 수 있다. 그럼 몇 가지 할 일이 있다. 먼저 운영체제는 하드디스크의 가장 바깥쪽, 즉 가장 첫 번째 드라이브에 설치해야 한다. 또 자주 사용하는 파일일수록 하드디스크의 바깥쪽에 ... ...
유리로 다시 태어난 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T4는 사람에게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세균을 이용해 번식한답니다. 세균의 몸
속
에 DNA를 넣은 뒤 복제된 바이러스가 밖으로 나오면서 세균을 죽이게 돼요. 인류 최대의 적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HIV는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매년 약 2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어요. ... ...
휴대전화로 3차원 입체영상 촬영한다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발표했다.부피가 큰 특수 카메라를 사용해 구현할 수 있던 입체영상을 작은 휴대전화
속
에 넣은 비결이 뭘까?연구팀은 먼저 기존의 입체영상 촬영 기법을 자세히 분석했다. 이 기술은 ‘깊이’ 정보를 알아 내기 위해, 보이는 면에 빛을 쏘고 빛이 물체에 부딪쳐 되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하는 ... ...
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거예요. 주인님도 저를 보고 있나요? 그럼 제 마음이 들리나요? ▼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INTRO. 반려동물과 행복하게 사는 법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PART 3. 반려동물이 가져다 준 ... ...
INTRO. 게임이 현실인가 현실이 게임인가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현실과 게임
속
에서 이런 이상적인 시나리오가 가능할지 확인해 보자.▼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INTRO. 게임이 현실인가 현실이 게임인가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PART2. 게임, 현실을 ... ...
이산화탄소에 취한 물고기는 용감해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냄새를 향해 헤엄쳤다. 정상적인 흰동가리가 90% 피하는 것과 정반대다.연구팀은 뇌
속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BA)’의 신경세포 수용체 ‘가바-A(GABA-A)’를 원인으로 꼽았다. 가바-A가 가바를 만나면 수용체의 통로를 개방해 세포 안으로 염소 같은 음이온을 들어오게 한다. 음이온이 들어오면 ... ...
이전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