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X선 구조분석학 미시 세계 영화처럼 보여주는 투시 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성제경 교수를 비롯해 스위스 EPFL공대 마가리톤도 교수와 대만 중앙연구원 호우광
박사
등 국내외 연구진의 도움을 받았다. 첨단과학기술 분야의 어려운 난제를 풀기 위해서 전문가들이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연구가 효율적이며, 앞으로 더욱 중요할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과학분야에서는 ... ...
부숴 먹는 알약 해로울 수 있어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차원에서 이런 약들의 명단을 만들어 공표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라이트
박사
에 따르면 실제로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정기적으로 이런 알약의 명단을 공표하고 있다 ... ...
재미 과학자 뇌세포 사멸 역할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재미 한국인 과학자가 ‘어팝토시스 유도인자’(AIF)라는 물질이 신경세포의 사멸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 이 발 ... 유
박사
는 1999년 서울대 미생물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이듬해 부인 김은경
박사
와 함께 도미해 존스홉킨스대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 ...
카펫서 몸무게 재면 10% 더 나가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내부 구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소개했다.영국 캠브리지대 물리학자 데이비드 맥카이
박사
는 카펫 위에 눈금 저울을 놓으면 몸무게가 더 많이 나간다는 얘기가 사실인지 알기 위해 그의 학생인 존 펜더가스트와 함께 여러 종류의 바닥에 저울을 놓고 몸무게를 측정했다. 그 결과 딱딱한 바닥보다 ... ...
혜성의 비밀 밝히는 나사의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위해 만든 이론 12개의 기본입자와그 힘을 매개하는 입자를 설정하고 있다 작고한 이휘소
박사
도 표준이론 설립에 큰 공헌을 했다태양계 형성 직후 만들어진 지름 수 km크기의 작은 천체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소행성이 만들어졌다 소행성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많으며 1km 이상인 ... ...
아인슈타인과 디카프리오 합친 아기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사나이10년 뒤 의료환경을 주도할 신기술을 묻는 질문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하상도
박사
는 ‘DNA 칩과 단백질 칩 등을 이용한 예방의학’과 ‘나노 약물전달 시스템’ 그리고 ‘줄기세포를 이용한 생체장기’를 꼽는다.BT와 NT가 결합한 대표적 예인 DNA 칩과 단백질 칩은 이미 개발단계를 지났으며 ... ...
7백만년 전 원인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추정되는 7백만년 전 원인(猿人) 화석이 발견됐다. 프랑스 푸아티에대 미셸 브뤼네
박사
가 이끄는 다국적 발굴팀은 지난해와 올 초에 걸쳐 아프리카 차드 북부 두라브 사막에서 원형이 거의 보존된 두개골과 아래턱, 이빨 화석을 발굴했다고 ‘네이처’ 7월 11일자에 발표했다.이 원인은 ... ...
바이러스 복제 차단하는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1,600t 그리스 신화의 여신〈Galateia〉에서 따온 이름 1950~52년 코펜하겐 대학의 안톤 브룬
박사
를 단장으로 하는 광범위한 심해생물탐사(深海生物探査)에 이용되었다에쿠아도르의 서해안에서 서쪽으로 약 1000km 떨어진 동남 태평양 상에 적도를 끼고 점재(點在)하는 화산도군(火山島群)〈진화론의 ... ...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인류는 물론 거의 모든 동식물이 멸종했을 것이다.이탈리아 피사대의 안드레아 밀라니
박사
는 2039년에 소행성 ‘1999AN10’이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정밀 관측결과 1999AN10은 지구와 3만9천km까지 접근해 지구를 스쳐 지나간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충돌확률이 0 ... ...
군사용으로 출발, 의료까지 적용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영상센서 연구실에서는 이희철 교수를 비롯해 인도공대의 방문교수 1명, 연구원 1명,
박사
과정생 7명, 석사과정생 6명이 국방·의료·산업용 적외선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적외선 감지소자 개발을 목표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 ...
이전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