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뉴스
"
다음
"(으)로 총 6,295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숫자로 정리하는 수학자대회
2014.08.22
21일 폐막식을 끝으로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가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다음
ICM은 4년 뒤인 2018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다. 김 ... 특성에 걸맞은 정부 협조와 민간의 지원을 이끌어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다음
ICM은 4년 뒤인 2018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다 ...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수학 개념보다 수학의 역사와 활용 먼저 배워야”
2014.08.20
수학의 역사와 철학적 관점, 다른 분야와의 관계 등을 설명하고 있었다. 주요 질문은
다음
과 같다. △수학은 언제 시작했는가 △수학의 분야가 얼마나 다양하고 수학자는 얼마나 많은가 △오늘날의 수학은 무엇을 연구하며 최고의 난제는 무엇인가 △수학이 어디에 좋은가 △어디에서 수학을 볼 수 ... ...
게임이 위기 대처 능력을 높여 준다?
2014.08.20
로프’의 독특한 게임 설계에서 찾았다. 이 게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사용했던 전략이
다음
단계에선 작동하지 않도록 설계돼 있다. 또한 게임에서 수행해야 하는 임무도 계속 바뀌기 때문에, 사용자가 계속해서 새로운 전략을 고민하게 된다는 것이다. 연구팀의 패터슨 교수는 “이번 연구 ... ...
빠른 길 대신 즐거운 길로 안내해 주는 내비게이션?
2014.08.18
알고리즘은 우선 기존의 방식처럼 목적지까지 가능한 경로들을 먼저 찾는다. 그
다음
세 가지 항목 점수가 높으면서도 소요 시간이 너무 길지 않은 길을 선택한다. 실제로, 연구팀이 개발한 ‘즐거운’ 추천 경로는 기존의 최단 경로보다 평균적으로12% 정도밖에 길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0분을 ... ...
[브리지스 서울 2014] 수학 박사의 ‘저글링’ 보실래요?
2014.08.17
수학과 교수의 작품도 있었다. 플라스틱 소재로 오각형을 만든
다음
, 이를 수직과 수평 등으로 배열한 조형품인 ‘아르키메데스 별’ 시리즈가 대표적이다. 이번 학회에 전시된 작품은 모두 흰 색 소재로 만들었으며, 정말 '별' 같이 고고한 자태를 뽐내고 있었다. 황 교수는 이 작품으로 이번 ... ...
“필즈상 ‘40세 나이제한’ 철폐 검토 하겠다”
2014.08.15
에서 미리 수상자를 발표하는 점을 참고해야 한다는 것. 이어 박 위원장은 ”이르면
다음
총회에서 이같은 사안들을 확정 짓고 2022년 대회부터는 변경된 규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국 수학수준 급성장… “필즈상 우리도 노린다” 필즈상을 받은 아르투르 ... ...
여름방학 특집 ☞ 캠핑 사이언스 (下)
동아사이언스
l
2014.08.13
부모님을 위한 선물을 하나씩 꺼내드는데 아빠를 감동시킨 아이들의 선물은 무엇?
다음
날 아침, 신기한 마술을 보여주겠다며 자신 있게 나선 섭섭박사! 섭섭박사는 과연 성공적으로 마술을 마칠 수 있을 것인가? 드디어 마지막 대결! 하늘 끝까지 날려보겠다며 직접 만든 열기구를 날리는 ... ...
우리가 작아진다면?
수학동아
l
2014.08.12
사실상 없는 셈이다. 평소엔 한 입에 먹을 수 있었던 치즈도 작은 크기로 자른
다음
에 또 다시 작게 갈아서 먹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작은 사람들이 먹기에는 치즈가루가 커 보인다. - 데이비드 길리버 제공 이 밖에도 수학동아 8월호에서는 디오라마 사진작가 데이비드 길리버의 다양한 ... ...
사카린은 설탕을 대신할 수 있을까
2014.08.11
되기 쉽다. 사실 화장도 시각 정보를 속이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신혼여행을 가서
다음
날 아침 침대 옆에 누워있는 ‘낯선’ 여인을 보고 “누구세요?”라고 말했다는 썰렁한 농담도 있다. 오죽하면 ‘쌩얼(민낯)도 예쁜’ 연예인들이 화제가 될까. 일상생활에서 감각을 속이는 일이 가장 ... ...
전자제품 세대교체 오나… 금속기판에 차세대 소자 심었다
2014.08.11
금속판 사이의 접착력보다 기판과 그래핀 사이의 접착력을 더 크게 만들었다. 그
다음
에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금속판만 떼어냈다. 접착테이프나 판박이스티커와 비슷한 원리다. 이번 연구성과는 국내 연구진이 미래형 첨단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의 상용화 가능성을 앞당겼다는 점에서 각광받고 ... ...
이전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