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고
고찰
심사숙려
심사숙고
참작
숙려
묵상
뉴스
"
고려
"(으)로 총 6,41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도권]서울대공원 “도전! 멸종위기 금개구리 복원”
동아일보
l
2015.07.10
확보해 수천 개의 알을 확보했다. 금개구리 올챙이의 입이 다른 올챙이보다 작은 것을
고려
해 먹이 급여도 성공적으로 조절하고 있다. 금개구리 올챙이는 작은 열대어 사료와 배춧잎을 주로 먹는다. 이 주무관은 “다른 개구리도 몇 차례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증식에 성공했다”며 “방사 시기는 ... ...
열흘만에 일반인 확진… 감염경로 불분명
동아일보
l
2015.07.06
“일단 A 씨 남편이 격리 직전 기침이 심해 바이러스양이 상당히 많았다는 점을
고려
해 봤을 때 가족 내 감염에 가능성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발생한 메르스 환자는 186명으로 이 중 116명이 완치돼 퇴원했고, 33명이 사망했다. 현재 메르스 환자는 37명이고 982명이 격리된 상태다. 김수연 ... ...
목표치 더 높아진 온실가스 감축… 업계 “정부에 뒤통수 맞아” 반발
동아일보
l
2015.07.01
목표를 내놓자 ‘뒤통수를 맞았다’는 분위기다. 이번 결정이 국내 산업계의 현실을
고려
하기보다는 국제사회의 압박 때문에 실리보다 명분을 택한 악수(惡手)라는 것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30개 경제단체와 발전·에너지업종 38개사는 30일 “국민 부담이나 산업 현장의 현실보다 국제 여론만을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뒤로 구부려 안정적으로 걷는다. 휴보 개발팀이 이 이상 몸집을 키우지 않은 것은 균형을
고려
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대회에 출전한 로봇 중 휴보가 그리 큰 편은 아니다. 2위 팀인 IHMC로보틱스의 ‘런닝맨(아틀라스의 개조형)’은 190cm에 175kg으로 80kg인 휴보보다 약 2배 가까이 무겁다. 3위 ... ...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
과학동아
l
2015.06.29
올 시즌이 끝날 때까지 한국의 파워를 미국 곳곳에 널리 알려주길 바라본다 이희원
고려
대 가정교육과에 다니며 비즈볼 프로젝트의 칼럼니스트로 활동 중이다. SK와 한화를 응원하고 있다. bizball project 유의미한 스포츠 콘텐츠의 지속적인 생산을 목표로 2013년 1월에 만들어진 비영리단체다.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6.29
물었다. “정말 터미네이터가 개발돼서 인류가 위협 당하는 날이 올까요?” 이성환
고려
대 뇌공학과 교수가 맞받아쳤다. “어떤 종류의 인공지능인가요? 인공지능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아직 용어도 제대로 정리돼 있지 않거든요. 연구가 아직 초창기라는 뜻이에요. 터미네이터의 등장이라면…, ... ...
식중독의 계절… 냉장고 너무 믿지 마!
동아일보
l
2015.06.29
2를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품을 보관할 때는 식품의 특성과 냉장고의 위치별 온도를
고려
해서 적절하게 배치하는 게 중요하다. 냉장고 문 쪽은 맨 안쪽보다 온도가 높고, 온도 변화도 많다. 따라서 바로 먹을 것만 냉장고 문 쪽에 넣어두고 나머지는 포장한 채로 냉장고 안쪽에 보관하는 게 좋다. ... ...
[부고] 염한웅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 부친상
2015.06.28
◇염한웅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자제어저차원전자계연구단장 부친상=27일 서울
고려
대 안암병원, 발인 29일 오전 7시 02-923-4442 ...
병원간 환자정보 공유 확대… ‘의료쇼핑’ 감염확산 차단을
동아일보
l
2015.06.26
때는 진료비 부담을 지금보다 더 높게 하는 식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형식
고려
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환자들이 여러 병원을 돌아다니는 것을 막는 게 어렵다면 병원 간 환자 정보 공유 시스템이라도 대폭 강화해 감염병이 병원에서 병원으로 퍼지는 상황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 ...
솔직히, 터미네이터가 인간을 위협할 수 있을까요
과학동아
l
2015.06.26
이뤄진 뇌를 해독하기까지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 예상하는 일조차 쉽지 않다. 이성환
고려
대 뇌공학과 교수는 “인간이 뇌를 연구한 지 100년이 넘었지만 뇌 전체 기능을 밝히는 연구는 아직도 걸음마 수준”이라며 “뇌의 개인차도 커 한 사람의 뇌 지도를 만든다고 해도 이를 인공지능 연구에 ... ...
이전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