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의대 김수태 교수는 뇌사자의 간을 말기 간암환자에게 이식하기도 했다.한편 미국에서는
동물
의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하는 수술이 잇따랐다. 돼지의 간, 원숭이의 간 등이 인간의 병든 간을 대신하기 위해 이식된 것. 그러나 이식결과는 좋지 않았다. 환자들이 이식 거부반응을 일으켜 사망하게 된 ... ...
6 바다 속에서 대체식량 캔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물질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 강력한 항암제 둘라스타틴 10은 인체실험중이며 15종은
동물
실험 중이다. 둘라스타틴 10은 흑색종(黑色腫)을 앓고 있는 생쥐(mouse)를 치료하고 백혈병에 걸린 생쥐의 수명을 두배나 연장시키는 등 매우 기대되는 물질이다.또한 해양생물에서 추출한 백혈병 치료제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집(그림)이 만들어진다. 머리쪽에서 밀려 들어오는 모래를 먹는데 함께 들어오는 작은
동물
도 부수적으로 얻게 된다. 때때로 몸을 후진하여 항문을 올려 불소화 물과 모래를 굴 가장자리에 배출한다. 이 똥의 덩어리가 화산처럼 쌓이고 반대쪽 머리가 향한 구멍은 함몰돼 들어가면서 일정량의 ... ...
(3)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크기와 형태의 것들이 나타난다(일본 요코하마대학 하세가와교수의 조언). 이빨은
동물
의 체(體)화석(body fossils) 중 어느 부분화석보다도 분류학적으로 중요하다. 왜냐하면 보존가능성이 가장 높을 뿐 아니라 분류군의 특징을 가장 잘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이빨화석은 거의 초식공룡의 것이다 ... ...
지름 12㎝원반에 책6백권 정보기억하는 전자책 CD롬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활용도가 높은 소프트웨어모음집) △ 국립지리학회에서 만든 포유
동물
복합미디어사전(
동물
음성 TV다큐먼터리 비디오 수록) 등이 있다.이외에 타임워너사가 49달러짜리 셰익스피어작품 모음집과 9천만명의 인명 주소 전화번호를 모아 수록한 CD롬 타이틀을 선보였으며, 컴퓨터라이브러리사는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있다. 온혈이 아니고는 지속적으로 민첩하게 움질일 수 없고 또 떼를 지어서 다니는 고등
동물
치고 온혈 아닌 것이 없다고 오스트롬 교수는 말한다."공룡은 사라졌을 뿐 죽지 않았고, 새가 되어 공중을 날고 있다. ... ...
곤충들의 집짓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위해 기상천외의 방법을 동원해 집을 짓는데…지구상에 살고 있는 약 1백 50만 종의
동물
군중 곤충류가 3/4을 차지하고 있지만 스스로 집을 짓고 사는 곤충은 그리 많지 않다.어미벌레의 대부분은 알을 아무데나 낳고는 돌보지 않는 비정한 면이 있다. 아무데나 알을 낳아 놓은 방치된 집 없는 ... ...
Frog-And More In Space 우주공간에서의 개구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있지만 제법 좋은 폐를 가지고 있으며 방이 세개 있는 심장이 있어 많은 작은 크기의 포유
동물
보다도 오래 살 수 있다.양서류의 역사와 우주 속의 올챙이의 경이로움을 살펴 보는 동안 필자는 시간이 흐르는 모래속에 발자국을 남긴 이첩기시절의 양서류를 생각하게 된다. 이 모래는 애리조나주의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멸종한다는 사실을 확연히 보여 줌으로써 진화의 법칙을 실증한 셈이다.한때 번성했던
동물
군이 갑자기 사라져 버린 사실은 생물과 자연의 조화가 얼마나 오묘한 것인지를 보여준다. 우리가 그들의 멸종에서 배울 큰 교훈이 있다. 즉 우리의 환경이 잘 보전되지 않고 공해와 전쟁으로 혹은 자원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부산물인 각종 바이오센서의 개발은 괄목할 만하다. 효소센서 미생물센서 면역센서 및
동물
세포센서 등이 개발되고 있는데 당뇨병환자의 혈당치를 측정하는 글루코스센서, 인공신장의 요석물을 제어하는 요소센서 등은 이미 실용단계에 있다.뇌세포와 바이오컴퓨터, 이를 실현하기 위한 ... ...
이전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