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각만 하면 생각대로’ 움직이는 휠체어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눈앞에 펼쳐지는 주변 모습이 차례대로 스크린에 나타나기 때문에 멀리 떨어진
곳
까지도 정확히 찾아갈 수 있다.민궤즈 박사팀은 2006년 이미 이 휠체어의 초기 단계 모델로 목적지에 도착하는 실험을 했다. 실험에 참가한 4명의 뇌성마비 아동은 생각만으로 목적지인 학교까지 가는 데 성공했다 ... ...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비둘기가 둥지를 틀지 못하게 막기 위해서다.특히 피해가 큰
곳
은 농가다. 과일을 비롯한 농작물을 비둘기가 떼로 달려들어 쪼아 먹는 통에 심하면 1년에 피해액이 수백억 원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농작물 피해의 주범은 멧비둘기. 국내에 서식하는 5종의 비둘기(멧비둘기, ... ...
[입학사정관제] 면접과 토론으로 준비된 나를 어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하루 종일 면접과 토론을 하는
곳
도 있고, 건국대처럼 1박 2일 동안 합숙 면접을 거치는
곳
도 있으니 학교별로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1차 전형에서 제출했던 모든 서류를 소화해야대학 입시에서 면접을 하는 첫 번째 이유는 바로 ‘1차 전형 때 제출했던 서류의 진위 여부 파악’에 있다. 대부분의 ... ...
하늘에서 내리는 생명수 ‘빗물’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저자는 역설적으로 대규모 댐을 건설하는 대신 여름철 쏟아지는 비를 소규모로 여러
곳
에 모아둔 뒤 필요할 때 활용하자고 주장한다. 전문용어로 ‘분산형 빗물관리’라는 방식이다.저자는 빗물이 가장 깨끗한 물이라는 사실을 설명하는 데서 논의를 시작해 왜 빗물을 관리해야 하는지 당위성을 ... ...
식품 속 거품의 핵심은 계면활성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힘들다. 맥주를 어떻게 따르고 마시냐에 따라서도 거품은 달라질 수 있다. 맥주를 높은
곳
에서 세게 따르면 컵 속 맥주가 크게 요동치면서 맥주와 공기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져 거품 양이 많아진다. 반면 맥주잔을 기울여 부드럽게 따르면 상대적으로 거품은 덜 생긴다. 또 맥주를 차갑게 해서 ... ...
달 정착촌 후보지 찾아 나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달 기지를 더 쉽게 지을 수 있다는 뜻이다. 달에서 온도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는
곳
으로는 영구 그림자 영역과 달 표토층 밑의 지하가 꼽힌다. 과학자들은 이 가운데 영구 그림자 영역에 시선을 집중한다.달은 자전축이 태양 방향과 거의 수직하기 때문에 달의 극지역에 있는 크레이터(운석 충돌 ... ...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동남아 지역은 비록 기온이 높다고 하지만 닭이나 오리, 돼지의 서식지가 사람이 사는
곳
과 분리되지 않고 마당에서 함께 사는 경우가 많아 바이러스가 뒤섞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서울대 수의대 김재홍 교수는 “바이러스는 종간장벽이 있어 다른 종에 쉽게 전파되지 않지만 일단 종간장벽이 ... ...
‘신의 눈’에서 ‘우주 물음표’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보인다. 한편 얼핏 보기에 파란 ‘다리’로 연결돼 있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더 먼
곳
에 있는 은하(아래)도 있다.2 세 쌍의 은하가 모인 Arp274. 처녀자리 방향으로 약 4억 광년 떨어져 있는데, 가운데 나선은하가 다른 2개 은하보다 6500만 광년쯤 더 멀리 있다. 양쪽 2개 은하에서는 활발하게 생성되고 ... ...
지구 광물 태반은 생명체 작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원소를 농축하고 좀 더 풍부한 미네랄을 만드는데 필요한 물과 다른 휘발성 물질이 없는
곳
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물이 있는 행성은 새로운 광물을 만드는 또 다른 과정을 겪었다. 바위가 뜨거운 물과 만나면 새로운 수성 광물이 형성된다. 판상인 운모, 침상인 각섬석, 아주 미세한 입자인 다양한 ... ...
한국인 키 유전자, 비만 유전자 찾았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SNP는 6번 염색체에 있는데 HMGA1 유전자와 가까이 있다. 이
곳
의 SNP가 GG형(부모로부터 모두 구아닌(G)을 받은 경우)이면 AA형(부모 둘 다 아데닌(A))보다 키가 평균 2.1cm가량 더 컸다. 지난해 서구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도 이 부분의 SNP가 비슷한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 ... ...
이전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