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작용
행위
실행
동작
행동거지
몸짓
d라이브러리
"
활동
"(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우스가 펼쳐내는 마술의 창(窓)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 윈도우를 설치하고 난 후에 윈도우를 실행시키면 초기 화면이 나타나고 나서 가장 먼저
활동
을 시작하는 것은 프로그램관리자라는 것이다. 이것은 윈도우라고 하는 프로그램, 또 윈도우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들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하면 운영체제인 윈도우를 운영하는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찍는 법, 쌍안경 활용법 등.25일 아침 일찍 주남저수지에 도착한 탐사대는 이미 탐사
활동
을 벌이던 경희대 생물학과 팀과 만나, 장비와 전문지도인력을 보강한 후 곧바로 탐사에 들어갔다. 필드스코프(네대)를 중심으로 팀을 짜고 각팀에 지도교사(여기서는 경희대 생물학과 대학원생들이 지도교사가 ... ...
바퀴벌레, 눈에 띈 마리수의 16배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조사해 본 결과, 가장
활동
력이 높았던 유충 20마리 그룹에서 평균 1.7마리가 나왔다. 가장
활동
력이 떨어진 그룹은 유충 50마리 그룹으로 평균 3.2마리가 먹이장소를 찾았다.바퀴벌레의 수를 10마리에서 1백마리까지 다단계로 변화시켜 실험한 결과도 이 범위내에서의 수치를 얻었다. 결국 실제로 ... ...
지구 최초의 생명 우주서 왔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가설을 완성했다.그러나 이후의 연구를 통해 원시지구의 대기는 지구 자체의 화산
활동
산물인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주류를 이루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치바와 세이건은 이 새로운 연구결과를 근거로 우주로부터 온 유기물의 양과 지구대기에서 생성된 양을 계산했는데 이들이 추출해 낸 매년 ... ...
Genes In Action
활동
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식물과 동물이 적재적소를 채우며 꼭 경쟁적이지만은 않은 많은 역할을 맡을 때 가장
활동
력이 있다.우리에게 있어 다양성이란 만일의 위험사태에 대비하는 보험과 다름없다. 만약 우리가 음식물이 될만한 소수의 동물과 식물을 집중적으로 소비해 환경의 주요한 변화를 이겨내지 못할 만큼 유전적 ... ...
(4) 신설 전파공학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안테나 및 전파전파(wave propagation)등 몇 개 교과목 강의만으로는 전자파 관련분야에서
활동
할 인력을 길러내기에 역부족이었다. 물론 신설 전파공학과의 학생들도 기초 교양과정이 되는 1, 2학년에는 전자회로실험이나 회로이론 계측 전자기학 물성(物性)이론 등 전기·전자공학의 기본인 내용을 ... ...
컴퓨터 선거전략의 핵심참모로 큰 활약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관리하는 것과 마찬가지 비중으로 PC통신을 통해 지역여론을 수집하고 자신의 정치
활동
을 알리는 수단으로 활용한다고 한다.그래픽기술이 시청률 좌우올해 총선과 대통령선거에 쓰일 개표방송시스템 개발을 둘러싸고 KBS MBC sbs 세 방송사는 요즘 신경전이 한창이다. 속보성과 화면표시기술이 ... ...
고려청자 비색의 비밀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강진군에서 운영하는 고려청자사업소가 77년부터 고려청자를 원형 그대로 구워내기 위해
활동
하고 있다.고려청자는 10세기에서 14세기 후반까지 주로 제작됐다는 것이 이제까지 국사학계의 정설이었다. 그러나 최근 장보고의 해상무역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청자의 제작시기도 앞당겨지고 ... ...
남극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남극의 특징적인 바람인 카타배틱은 보통 초속 28~41m로 낮은 기온과 함께 남극에서의
활동
에 가장 큰 장애가 되고 있으며 체감온도(wind chill)를 낮추는데도 큰 역할을 한다. 우리가 태풍이라고 일컫는 바람이 초속 17m 이상이라고 할 때 남극의 환경이 얼마나 극심한가는 독자의 상상에 맡기겠다 ... ...
생물은 더 작아질 수도 더 커질 수도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포유동물이 이보다 더 작아지면, 이 동물이 먹을 수 있는 양의 길이는 세제곱으로 작아져
활동
을 위한 식량을 공급할 수가 없게 되므로 결코 살아남을 수가 없다.반대로 코끼리의 키가 더 커지면 몸무게가 키의 세제곱으로 늘어나 현재의 뼈로는 도저히 지탱할 수가 없게 된다. 즉 작아지는 데도, ... ...
이전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