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다움의 공식, 황금비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노력 끝에 발견됐다. 여기서 언급한 것 외에도 자연에서, 혹은 생활 속에서 황금비로 이뤄
진
것을 무수히 찾을 수 있다. 세심한 관찰을 통해 황금비를 발견해 보자~.상징하는 도형별 모양의 도형은 오래 전부터 다양한 상징물로 쓰였다. 지금도 여러나라의 국기에서 별 모양의 문양을 찾아볼 수 있다. ... ...
나타났다 사라지는 마술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캐릭터’에 올려 주세요. 선정된 친구들에게 소정의 선물을 보내 드립니다.(인화한 사
진
은 엽서에 넣어 보내도 돼요.)❷ 섭섭박사와 함께 퀴즈 퀴즈!‘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서 섭섭박사의 동영상을 보고 퀴즈에 대한 답을 덧글로 달아 주세요. 모두 10명을 뽑아 딱과 3종 세트를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관련 전시시설을 마련하고, 자연 적응장에서 살고 있는 호랑이를 관람하는 프로그램도
진
행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자연 적응장은 사파리의 개념은 아니고 동물원보다는 훨씬 자연적이고 넓은 사육장”이라고 소개했다.남은 문제는 언제 호랑이를 데려올 수 있느냐는 것. 야생호랑이로부터 ... ...
밤에 더 빛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부근의 열을 고위도로 밀어 올리는 편서풍파동(행성파)이 작은 곳에서는 야광운이 사라
진
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미국 햄프턴대 제임스 러셀 박사는 “야광운이 먼지 입자와 수증기가 대기 중으로 올라가 차가운 대기 중간층과 만나 얼음이 되면서 형성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했다.재미있는 ... ...
한민족 조상, 동남아에서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동해 동아시아로 온 것도 맞을 것”이라며 “한국인은 남쪽과 북쪽에서 온 인류가 합쳐
진
민족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컨소시엄은 이런 가능성에 답하기 위해 2차 프로젝트를 시작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중앙아시아와 태평양 섬나라도 포함한다. 2차 프로젝트가 마무리되면 좀 더 정밀하게 아시아 ... ...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과학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아무래도 요즘 정신줄을 놓고 있는 사람이 더 많아
진
것 같다. 예전보다 각양각색의 다양한 정보가 흘러넘치다 보니 필연적으로 뇌가 적응하게 된 건 아닐까. 그러나 그런 상태에서도 어쩌면 뇌는 더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있는지 모른다. 마치 동양화의 여백이 ... ...
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가졌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한 결과와도 동일했다.태아 시절, 인간보다는 조금 늦게, 표범보다는 조금 빨리 만들어
진
호랑이 줄무늬의 비밀은 이제 현대 수학으로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 언젠가는 왜 하필 그 시기에 무늬가 만들어지는지도 수학으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2010년 호랑이의 해를 맞아 수학이라는 새로운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지금까지 총 37명을 선발했다. 우주분야 교육을 받은 사람이나 석박사 학위 소지자로 이뤄
진
이들의 특기번호 뒤에는 ‘우주(Space)’를 상징하는 ‘S’가 붙었다. 우주 정책을 수립하고 우주작전을 짜는 28개 우주 직위가 만들어졌다.공군은 앞으로 다가올 우주에서의 위협에 대비해 우주 전력을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박사가 세계 최초로 실현한 스핀트랜지스터가, 10위는 현대자동차가 독자 개발한 타우엔
진
이 선정됐다. 이번에 선정된 10대 뉴스는 이공계 교수와 과학기자로 구성된 위원회가 1차로 뽑은 22개 주제를 놓고 네티즌 3400명이 인터넷 투표에 참여해 결정됐다. 글 박근태 기자 kunta@donga.com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주는 것이다. 걷기기능만 구현할 때는 모양새에 불과했던 상반신의 역할이 한층 중요해
진
셈이다.물론 이런 동작을 하려면 고도의 제어기술이 필요하다. 로봇이 전후좌우에서 오는 충격을 모두 감지해야 하고, 그에 맞춰 발동작뿐 아니라 상체 비틀기 동작까지 해야 한다. 무게중심을 감지하는 ... ...
이전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