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남녀의 수학차이 사라져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95
점
. 1995년만 해도 우리나라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점
수 차이가 17
점
으로 세계에서 남녀의
점
수 차가 가장 큰 나라로 꼽혔어. 하지만 12년이 지나면서 4
점
차이까지 차차 줄게 됐어. 부모님과 선생님의 남녀에 대한 생각이 평등하게 바뀐 게 가장 큰 이유야. 세계적으로도 스웨덴이나 노르웨이와 ...
[허풍의 퍼을 세계일주] 뉴욕시에 영웅 탄생!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돈을 챙겨서 나오려고?”“선생님! 먼저 가서 금고 비밀번호를 바꿔 놓아야죠. 분명
점
장을 앞세워 금고로 올 거라고요.”허풍과 도형은 서둘러 금고로 향한다.“금고 비밀번호는 아는 거야?”“아니요. 하지만 아까 비밀번호를 바꿀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들었어요. 찾았다!”“뭔데? 어떻게 하는 ... ...
[인터뷰] 333법칙으로 공신이 되자!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달라질 수밖에 없다.“하위권이라면 문제가 적은 기본서로 공부하는 습관을 만들고
점
차 공부하는 시간을 늘립니다. 또 복습을 하면서 선행학습도 함께 합니다. 예를 들어 두 자리 덧셈을 못한다고 해서 계속 두 자리 덧셈만 공부하면 시간이 너무 많이 듭니다 한 단계를 통과하고 다음 단계로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65일 5시간 48분 46초가 되죠. 딱 365일로 떨어 졌다면 달력 만들기가 한결 편했을 텐데, 소수
점
아래의 숫자 때문에 달력을 만드는 데는 정교한 수학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365일만 들어 있는 달력을 만들면 시간이 흐를수록 오차가 쌓였던 것이지요.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그레고리력 이전에 널리 ... ...
자선냄비는 곱셈의 마음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자선냄비는 구세군의 선교와 함께 세계 117개 나라로 퍼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제 강
점
기였던 1928년 박준섭 구세군 사령관이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해 12월 15일 서울에 자선냄비를 설치하면서 시작됐다. 현재는 전국 곳곳에서 매년 12월 1일부터 24일 자정까지 모금활동을 펼치고 있다.다양한 ... ...
[수학의 위대한 발견] 별난 수, 소수의 발견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지금과 달리 정확하지 않아 오차가 많지만, 최초로 지구 둘레를 계산해 보았다는
점
만은 대단하다.수학자는 더욱 더 큰 소수를 꿈꾼다 수학의 한 분야인 정수론을 연구하는 수학자의 꿈은 끝없이 소수를 찾을 수 있는 함수를 발견하는 것입니다. 만일 소수를 찾을 수 있는 함수를 발견한다면 무한히 ... ...
Part 2. 달력은 정보의 바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괜찮아요. 달력에 있어서 정확성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사람들 사이의 약속이라는
점
도 매우 중요하거든요. 모든 사람들이 똑같은 기념일을 받아들이고 축하할 수 있다는 사실이 중요한 거지요. 사실은 아무도 모르는 한글날최초의 한글날을 11월 4일이었다. 훈민정음이 음력 9월에 ... ...
[뉴스 속 수학 읽기] 게임으로 수학 실력을 쌓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연구반 학생들의 평균
점
수가 일반반에 비해 4학년은 1.05
점
, 5학년은 1.32
점
, 6학년은 0.87
점
이 더 높았습니다. 특히 중·하위권 학생들에게 효과적이었습니다.앞으로 더 많은 학교에서 수업 시간에 게임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 ...
[뉴스 속 수학 읽기] 도시 안전 책임지는 수학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거리에 있는 영역을 다각형으로 그린 표입니다.연구팀은 세비야에 있는 72채의 건물을
점
으로 표시한 뒤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그렸습니다. 그러면 다이어그램에서 다각형의 모서리는 선로의 경로가 됩니다.연구팀을 이끈 프렌시스코 오르테가 교수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방법은 ... ...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고려시대 역사서인 고려사의 악지(樂志)편에서도 해금을 향악기로 소개하고 있다.재밌는
점
은 우리나라에서는 해금을 ‘해족의 피리’라는 뜻인 ‘해적(奚笛)’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렀다는 사실이다. 해금이 종종 관악기로만 이뤄진 합주곡에 편성된 데서 비롯된 이름이다. 우리 조상들은 해금을 ... ...
이전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