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가능"(으)로 총 6,718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북 표준 단위 체계도 통일할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5.03
- 언급했던 표준시에 대한 이야기도 나왔다. KRISS는 현재 한반도 전역, 반경 약 1000km에 송출가능한 표준시 방송국을 건립하기 위해 사전조사와 시범방송을 준비 중이다. 통일에 대비해 한반도 전역에 동일한 표준시를 제공할 수 있는 국가 인프라를 확보한다는 목표다. 박 연구부장은 “긴 거리를 ... ...
- 70만년 전 인류는 어떻게 바다를 건너 필리핀에 왔나동아사이언스 l2018.05.03
- 제기했다. 연구팀은 “호모에렉투스 등 옛 인류가 배를 만들었다는 증거는 아직 없지만, 가능성을 완전히 부정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화석은 필리핀 북부 섬 루손에서 발견됐다. 주변은 70만 년 전이나 지금이나 깊은 바다다. 어떻게 인류가 갔을까? - 사진제공 네이처 한편 3월에는 중국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2018.05.01
- 따라서 파비피라비어는 독감치료제를 넘어 음성가닥 RNA 바이러스에 폭넓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실제 2014년 서아프리카 3개국에 에볼라가 창궐했을 때 의료활동을 하다 감염된 한 프랑스 간호사가 파비피라비어를 투여받고 회복된 사례가 있다. 그 뒤 에볼라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이 ... ...
- 생산량 최대인 고구마, 북한 식량부족 해결에 제격과학동아 l2018.04.29
- 장기적으로는 고구마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식품을 개발하는 등 고부가가치 사업도 가능하다. 곽 책임연구원은 “255년 전 대마도를 통해 한반도로 들어온 고구마는 남한을 거쳐 북한까지 퍼졌다”며 “공동연구를 통해 북한의 식량난을 해결하고, 남한의 식량 수급불균형 문제 해결에도 도움을 ... ...
- 임진강 홍수 위험 대비에 머리 맞대다 과학동아 l2018.04.28
- 권예슬 기자 제공 세계 3위 산림황폐화 국가로 꼽히는 북한의 산림 복구도 남북 협력이 가능한 분야다. 국립산림과학원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지난 10년 간 평양 면적의 11배에 달하는 1만2000km²의 산림 지역이 황폐화됐다. 매년 평양과 맞먹는 면적 이상의 산림이 황폐화된 것이다. 2015년 김정은 ... ...
- ‘백두산 과학기지’에서 분화 모니터링 한다 과학동아 l2018.04.27
- ※편집자주. 9월 18일 남한과 북한의 정상이 평양에서 다시 만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평창동계올림픽 직후인 지난 3월 각 분야 과학기술인들을 모아 머리를 맞댔 ... 연구자의 신변 안전, 연구의 지속성 등이 우선 확보돼야 신뢰를 바탕에 둔 공동연구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기술력 최고인 남한, 광물자원 풍부한 북한과학동아 l2018.04.26
- 모든 데이터의 실시간 분석이 가능해지고, 광업은 더욱 안전하고, 예측가능하며, 지속가능한 산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출처 : 과학동아 5월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2018.04.24
- 사람에서도 이런 회로가 존재하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연구자들은 그럴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명상을 하면 마음이 차분해지는 건 호흡을 가다듬어 전뵈트징어복합체의 특정 뉴런이 잠잠해진 결과일지도 모른다. 연구자들도 논문에서 “느리고 조절된 호흡은 수세기 동안 마음을 ... ...
- 남북 종전 선언 기대 속… 북한 IT과학은 어느 수준? 2018.04.19
- 사용은 어려울 것으로 추측됩니다. 특별한 목적이 있는 극소수 사용자만이 접속 가능합니다. 해외에서 접속하기도 어렵습니다. ‘우리민족끼리’, ‘조선의 오늘’ 등 정치 선전을 위한 사이트는 남한을 제외한 해외에서도 쉽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2015년에는 상업용 인트라넷이 개방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2018.04.17
- 병이 났다는 뜻이다. 특히 전혀 왕래가 없던 간이나 췌장에서 오는 소식은 심각한 얘기일 가능성이 높다. GIB 제공 내부 장기 가운데 그나마 자주 소식을 전하는 게 위(십이지장 포함)다. 올해로 쉰인 필자 나이쯤 되면 위의 소식을 몇 번은 접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소화계가 약한 필자는 평소 ... ...
이전5695705715725735745755765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