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땀띠
한창
칸
hahn
khan
d라이브러리
"
한
"(으)로 총 20,9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앞으로 앞으로~♪ 지구는 둥그니까~♬” 위 동요의 가사처럼 지구는 둥글다. 지금은 이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옛날 사람들은 그렇지 않았다. 많은 사람이 지구가 ... 생겼을까?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파앗~!’ 머리가 삐쭉삐쭉 솟아있는 어느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이 손바닥에 기를 모아 에너지 형태의 공을 만들어 적을 공격
한
다. 적은 손바닥에 전기를 흘려 귀를 찌를 정도로 높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 ... ...
제58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생생
한
뒷이야기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유형의 문제만 풀기보다는 어떻게 풀지 고민할 수 있는 문제에 도전하는 게 좋아요.
한
문제씩 풀어나가면서 자신감을 기르면 수학을 즐기는 나를 발견할 수 있을 거예요 ... ...
Part 2. 두 유 노우 ‘김치’?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나오면 좋겠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알아두면 쓸모 있는 신비
한
수학사전 알쓸신수!Part 1. 택시가 낸 수학 문제Part 2. 두 유 노우 ‘김치’?Part 3. 런웨이에 선 ... ...
[과학뉴스] 수천만 년 전 원숭이의 적혈구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구멍이라고 추측했어요. 추측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구멍 안쪽을 더 정밀하게 관찰
한
결과, 원숭이의 적혈구를 찾아냈어요. 이 적혈구는 지금까지 발견된 포유류의 적혈구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밝혀졌답니다.또, 적혈구에서 바베시아과에 속하는 기생충도 함께 발견되었어요. 이 기생충에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과학으로 국가대표를 돕는다!
한
국스포츠개발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성적을 낼 수 있도록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답니다.김지현 선생님은 “안경과 비슷
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해 선수나 감독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새로운 코칭 시스템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어요.첨단과학과 함께 하는 우리나라 선수들을 보니 다가오는 올림픽이 더욱 ... ...
[Focus News] 질소 먹고 위에 구멍, 질소가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조심해야
한
다. 물을 섞어 식초 대신 사용하는 빙초산도 주의해야
한
다. 식품위생법에 의
한
식품첨가물 규격에서 빙초산은 아세트산 99% 이상을 함유하는 것으로 규정돼 있다. 물을 섞지 않는 빙초산은 산성도(pH)가 3 이하인 강산성으로 피부에 닿으면 화상을 입힐 수 있다. 이번 액체질소 사건 이후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50kg수준으로 경량화하는 방안도 포함시켰다. 이 교수는 “우주 기술을 선점하기 위
한
경쟁은 앞으로 더 치열해질 것”이라며 “우주 탐사를 국익에 활용하는 일본과 중국을 지켜만 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아시아발(發) 달 탐사 레이스 시작, 달에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수준이다. 인간이 피폭되면 즉사하는 수치다. 리틀 선피시는 지름 13cm, 길이 30cm로 아담
한
크기다. 격납용기에 접근할 수 있는 구멍의 지름이 14cm여서 이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작게 설계했다. 연구팀은 로봇 앞뒤에 비디오카메라와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을 달았다. 또 깊이가 6m나 되는 격납용기 ... ...
[Future]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가정하면 노선 당 건설비를 10조 원으로 잡았을 때 1000조 원에 이르는 막대
한
시장이다.
한
국처럼 땅이 작은 나라가 하이퍼튜브를 먼저 개발하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누가 먼저 시속 1200km를 달성하고 차세대 초고속 교통수단 경쟁에서 주도권을 쥐게 될지 계속 지켜볼 일이다 ... ...
이전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