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톡톡ʼ스마트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어떻게 해야 하나요?”도대체 스마트패드가 뭐기에 아빠와 엄마가 이렇게 된 걸까? 지금은 스마트패드 시대!화면을 손가락으로 눌러 사용하는 ‘아이패드’나 ‘갤럭시탭’ 같은 휴대용 컴퓨터를 ‘태블릿PC’라고 해. 여기서 얘기하는 스마트패드는 태블릿PC를 포함해 전자책 단말기나 슬레이트 ...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수마트라 섬, 자바 섬, 발리 섬이 모두 하나의 대륙(‘순다’)으로 연결돼 있었다. 지금의 호주 대륙과 뉴기니 등이 또다른 대륙(‘사울’)을 이루고 있었는데, 이 사이는 여러 개의 작은 섬을 포함한 바다였다. 인류는 이 바다를 건너 호주로 향했다.구식 석기를 사용한 이유그런데 이러한 인류 이동 ...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중지한 테바트론은 156~177GeV에는 힉스가 없다는 결과를 얻었다.테바트론이 가동을 멈춘 지금 힉스 사냥은 LHC의 손에 달렸다. 2008년 완공된 LHC는 LEP가 있던 원형 터널에 들어섰다. 7TeV의 에너지로 양성자를 가속해 충돌시킬 수 있고, 때때로 납 이온을 충돌시키는 실험을 한다.힉스의 질량이 현재 ... ...
- 나노갤러리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화장품에서 세제까지, 나노는 이제 익숙한 단어가 됐다. 그러나 어렵고 심오하다는 선입견 때문에 아직 나노는 과학자들만의 영역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 들어있다. 그래핀 속에서 전자는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이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면 지금보다 1000배나 빨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수영장 3000개 안에 담긴 물을 펄펄 끓일 수 있는 정도랍니다.”초고출력레이저를 쓰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자연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전자에 초고출력레이저를 쏘면 전자가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된다. 기존 전자 가속기의 경우 진공 가속관 100m에서 얻을 수 있는 가속 에너지를 ... ...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가셨나요?“전 인문사회 쪽은 아니었어요. 전형적인 이공계 학생이었죠. 당시는 의대가 지금처럼 인기가 없어서 공대 중하위권 정도였어요. 집이나 학교에서 의대 가라는 압력이 전혀 없었죠. 물리가 좋아서 물리학과도 생각했는데 수학 문제를 푸는 것보다는 뭔가 만들고 부수고 그런 걸 ... ...
- How the Concept of Invention Changed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포함됐다. 이 네 가지 기술은 현재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구성한다. 이들에겐 모두 지금은 사망한 컴퓨터 업계의 선구자 스티브 잡스의 작업이 녹아있다. 그런데 그는 이 모든 것의 최초 발명가가 결코 아니었다. 이 사실들로부터 발명을 인식하는 새로운 방식을 알 수 있다. 누가 과학기술적 ... ...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토지 면적으로 환산한 단위)로, 지구의 생태계가 지닌 부담 능력(1.8gha)을 1.5배 넘고 있다. 지금 인류의 삶을 지탱하려면 지구가 반 개 더 필요하다는 얘기다. 또는 인류를 3분의 1 줄여야 한다(실제로 생태발자국은 국가별로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인구를 줄인다고 해결되지 않는다).생태발자국이 ...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과거보다 훨씬 더 밀집해 살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인류는 20억 명에 불과했다.지금은 세 배가 넘는다. 단순히 인구가 많다고 위험한 것이 아니다. 20세기 중반 이후 일부 지역에 인구가 집중적으로 몰리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슬럼이 생기는데, 이곳이 문제다. 인구 밀도는 극도로 높은 대신 ... ...
- 근육로봇의 탄생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기어가다가 방향을 마음대로 바꾸고, 구를 수도 있고 게다가 똑바로 서기까지 하죠. 지금 로봇 기술은 그 작은 자벌레도 따라할 수가 없어요.”새로운 움직임을 만들기 위해 요즘은 겉모양을 따라하는데서 벗어나 생물이 움직이는 원리를 조사하고 그 내부 구조를 따라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 ...
이전5695705715725735745755765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