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호박의 비밀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나온 미
생물
과 현재의 미
생물
이 거의 같다는 것이다. 이 사실이 보여주는 것은 미
생물
은 다세포 동식물과는 달리 쉽게 형태를 바꾸지 않는다는 것이다. 얼마나 많은 종류의 공룡이 존재하였고, 수백만년을 걸쳐 변해오면서 지구를 지배했는지 생각해보자. 그리고 상대적으로 겨우 수천년 정도에서 ... ...
생물
- 신경세포 3백억개 모인 거대한 정보처리용 컴퓨터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인간이 만물의 영장일 수 있는 것은 발달된 두뇌의 덕이다. 우리 몸무게의 2%에 불과하지만 인간 심신의 사령탑 역할을 하는 두뇌에 대해 알아보자.인간의 뇌는 매우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 뇌를 크게 나눈다면 거대한 대뇌와 그것을 받쳐주는 줄기에 해당하는 뇌간(중뇌 연수 간뇌), 뇌간에서 척 ... ...
염색체 지도 완성, 생명의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사용한 좋은 예가 될 것이다. 이 효소는 화산지대의 온천에서 서식하는 내열성 미
생물
이 갖고 있는 유전자 복제효소다. 유전공학기술로 다량 생산된 DNA중합효소는 높은 온도주기(95-75-55℃)에서 특정 유전자를 수십억배 증폭하게 해준다. 이러한 유전자 증폭을 통해 아주 극소량의 사람의 피나 타액, ... ...
인텔리전트 겔 개발 인공근육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공업제품은 대부분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그러나
생물
체의 몸은 그렇지 않다. 유연하고 습기가 있는 물질로 만들어져 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말랑말랑하면서 습기가 있는 겔은 기술자가 취급하기 어려운 소재이지만 많은 가능성을 가진 것만은 틀림없다.겔은 온도 pH 전기 ... ...
원핵
생물
에도 생체시계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원핵
생물
인 애너비너(미
생물
의 일종)에도 이 리듬이 있다는 사실이 일본 오카자키의 기초
생물
학 연구소 곤도 다카오(近藤孝男) 박사팀에 의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이 리듬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단을 찾던 연구진은 발광세균의 루시퍼라제라 불리는 발광유전자에 착안했다. 애너비너는 유전자 ... ...
자외선 오존층 뚫고 지구 위협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낀 경우에는 선글라스나 모자의 착용이 부수적으로 필요하다.자외선 광도의 증가는 기타
생물
에도 많은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인간생활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곤충들은 근자외선 영역(UV-A)에서 민감한 인지 감각반응을 나타낸다. 즉 3백-4백nm의 근자외선 광도가 ... ...
잠자리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날개를 끼고 신기하게 바라보는 어린이들을 요즘에는 보기 힘들다.잠자리는 환경지표
생물
로서 이용되기도 하는데, 그들이 점점 우리 주위에서 사라져 간다는 것은 그만큼 환경오염이 심각하다는 것이다. 이를 우리들은 항상 의식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 ...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21세기 미래상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폭풍우가 쏟아지는 원시지구의 모습, 그 가운데 바다속에서 원시생명체가 탄생하고 작은
생물
체로 진화하면서 공룡 포유류 등을 거쳐 인류가 등장하는 모습이 자연스럽게 표출된다. 그 중에서도 원인류의 모습이 사람의 얼굴로 바뀌는 과정은 단연 압권. 두개의 소형극장이 하나로자연생명관의 ... ...
젊은 패기로 기고만장했던 시절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계셨다. 두분 모두 우리 대학원생들의 좋은 맏형 노릇을 해주신 분들이다.우리나라
생물
학은 내 것이다, 우리 것이다 하는 젊은 패기와 오만에 가득차 있던 우리는 그야말로 기고만장하여 생명과학의 최첨단을 통달한 것같은 착각 속에 도취되어 있다가 한 두해 사이를 두고 모두 미국으로 유학을 ... ...
(2) 우주탐사 12년 발자취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여전히 '무중력 공포증'이 있음을 증명했다. 두마리의 잉어는 우주멀미 실험에 사용됐다.
생물
공학 실험 외에도 순도가 높은 재료를 만드는 다양한 재료공학실험이 이루어졌다.한편 엔데버에는 처음으로 부부 우주비행사가 탑승해 혹시 '우주 섹스' 더 나아가서는 '우주 베이비'가 탄생하지 않을까 ... ...
이전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