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병마를 추적하는 첨단의료기기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수 있다. 분명히 최근의 의료기기개발은 이에 관련된 여러가지 기술, 특히 컴퓨터기술의
발전
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의료기기 개발의 관점에서는 다음의 두가지 사항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첫째 새로운 진단방법 또는 의료기기는 지금까지 관찰할 수 없었던 새로운 현상을 관찰할 ... ...
「서류없는 사무실」 EDI 확산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접근한다면 그저 편리하다는 느낌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한다. 우리 경제환경에 무한한
발전
을 갖다줄 수 있는 새로운 거래질서와 시장구조창출의 계기로 EDI를 받아들이려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한 것이다. 프로토콜(protocol)원래 외교상의 의정서라는 뜻인데 컴퓨터통신에서 컴퓨터간에 데이터를 ... ...
4 개인용전화기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마찬가지로 셀룰러폰도 필수품으로 확실히 자리를 잡았다고 할 만하다.이동통신기술이
발전
해가면서 통신에 대한 개념도 바뀌고 있다. 즉 전통적으로 어떤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음성이나 정보를 전하는 의미에서 이제는 통신수단을 지닌 사람에서 다른 사람에게로 통신이 가능해진 것이다. ... ...
(3) 「발등의 불」 전산서체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그저 '글자를 알아볼 수만 있으면 되는' 정도로 치부하고 있는 한에서는 한글 서체의
발전
은 불가능하다. 서체도 하나의 상품이며 그것을 만드는 데 많은 노력이 든다는 사실, 미래의 컴퓨터 산업에서 서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투자를 해야만 제대로 된 한글 서체가 나올 수 있다 ... ...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프린터시장은 세이코 계열의 일본 엡슨(Epson)사에 의해 주도됐다. 세이코의 비약적인
발전
은 1964년 도쿄올림픽에서 부터 시작됐다. 탁상용 계산기와 금전등록기에 EP-101이란 도트프린터가 사용되었다. 욕심이 생긴 세이코는 프린터 전문업체를 하나 세우기로 했다. 그 회사의 이름은 엡슨이었다. 'EP-1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가져야하지 않을까. 아니면 무한히 펼쳐지기만 할까 등등. 이 모든 질문을 현대과학의
발전
단계내에서 설명할 수 있는데까지 답을 요약해 보자.초기의 우주는 어떠했는가. 종교적인 측면에서 우주에 인간이 탄생한 것은 최근세인 약 4천년 전 어느날 신에 의한 창조였다고 기록돼 있다. 실제로 ... ...
2 머리카락 굵기로 전화 2억회선 구성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약속하고 있다. 광섬유 케이블 광전송기술에서 광교환 광컴퓨터 기술로 이어지는 기술
발전
은 멀지않아 모든 통신기술이 광을 기본으로 하는 광통신시대를 열어주게 될 것이다.Mb/s1초당 1백만 비트(bit)의 전송속도. 1비트는 전기가 한번 깜박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2진법의 0또는 1로 표시된다. ... ...
정체 드러내는 「신의 아들」엘니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수년 정도의 장기예보기술을 확립하는데 커다란
발전
을 이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용승(湧昇, upwelling)해양에서 깊은 곳의 물이 표면으로 솟아 올라오는 현상. 강한 바람이 연안수를 난바다 쪽으로 밀어내는 곳에서는 연안의 표면수가 밑에서 보급돼 용승이 ... ...
(5) 소프트웨어 「한글화」의 허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지적은 외국 유명 소프트웨어의 한글화에만 힘을 기울이게 되면 국내 소프트웨어산업의
발전
보다는 오히려 계속적인 '소프트웨어의 종속화'가 심화된다는 것이다. 한글화된 소프트웨어는 자칫하면 '양복입고 갓쓴 꼴'로 나타날 수 있는 허점이 있다.얼마전 어느 컴퓨터 전문지에서 한글도깨비나 ... ...
싹트기 시작한 천문학 연구에 찬바람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m 광학망원경이 건설되면 그동안 상대적으로 크게 낙후됐던 국내 천문학연구가 상당수준
발전
할 것이라고 관련자들은 예참하고 있었다.얼마전까지만해도 우리나라 대학에서 천문학과는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아왔던 것이 사실이다. 1958년 서울대에, 1968년 연세대에 천문기상학과가 설치됐으나 ... ...
이전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