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찰의 위력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한다.뚝딱 실험2 연필은 천하장사왜 그럴까?!고무는 다른
물질
에 비해 마찰이 큰
물질
이다. 그래서 책상다리 밑이나 탁구 라켓, 또는 대부분의 전자 제품 바닥에는 고무를 붙여 놓는다. 유리 병 입구에 연필을 넣고 잡아당기면 미끄러지기 때문에 병을 들어올릴 수 없지만, 고무를 끼우면 마찰이 ... ...
태양계 7대 비경 관광가이드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B고리가 가장 밝고 입자가 가장 조밀해 고리 전체 질량을 거의 차지합니다. 만일 B고리의
물질
을 다 모으면 지름 2백50km 얼음 위성을 만들 수 있을 겁니다. A와 B 고리 사이에 위치한 거대한 틈새는 1675년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따라 카시니 간극이라 합니다.”창밖으로 펼쳐진 토성의 고리는 마치 ... ...
1. 최신항공기 경량화의 첨병 강철만큼 강하고 5백℃ 견딘다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가장 큰 장점은 금속이나 유리에 비해 가볍다는 점이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
은 1백10여 가지의 원소로 구성돼 있는데, 고분자는 주로 탄소, 수소, 산소와 같은 가벼운 원자로 이뤄지기 때문에 가볍다.물론 고분자가 가볍기만 하다면 별로 쓸모가 없을 것이다. 아울러 고분자는 질기고 강한 ... ...
식물분자생물학 연구실 잘 익은 수박 만드는 유전공학 비법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형질전환식물을 개발하고 있다. 선별된 식물세포에서 항생제 내성 유전자만 특수한 화학
물질
로 제거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연구실은 과일의 당도를 증진시키는 연구에서부터 선발표지유전자를 갖지 않는 형질전환식물 연구까지 식물에 관한 최첨단 생명공학을 이끌고 있다. ... ...
스스로 세탁하는 옷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하도록 인체의 분비물을 먹는 이 박테리아는 자연 상태에서 인체에 존재하는, 해가 없는
물질
이다. 현재 연구팀은 이 박테리아가 인체 분비물이 없을 경우 어떻게 생존할 수 있을지 연구중이다.파울러 박사는“발냄새가 심각한 사람의 경우, 신고 있는 동안 냄새가 나지 않는 신발이 있다면 그 ... ...
반딧불의 비밀은 산화질소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기관이다. 반딧불이의 발광체에 들어 있는 루시페린 역시 산소와 반응해 빛을 내는
물질
이지만 평소에는 미토콘드리아가 산소를 독점해 빛을 못낸다.산화질소는 바로 두 기관의 산소 소비를 조절함으로써 결국 반딧불이 전원 스위치 역할을 한다는 것. 발광체 바로 옆에 있는 효소에서 산화질소가 ... ...
2. 전기 통하는 플라스틱의 비밀 2010년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등장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얇은 판에다 만들 수 있어 초박막형 TV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사실 유기
물질
(고분자)에 전기를 흘렸을 때 빛을 내는 발광 현상은 1960년대에 처음 발견됐다. 하지만 실용성이 없었다. 그러다가 1990년대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PPV라는 전도성 고분자가 빛을 잘 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이혁모 컴퓨터로 첨단합금 설계하는 사이버 연금술사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메소포타미아에서 시작된 것으로 현재까지 열에 민감한 재료의 접합을 위한 대표적인
물질
이다. 하지만 땜납에는 주석과 함께 납이 포함돼 있어 인체와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새로운 접합재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제품의 소자가 점차 ... ...
비타민C가 독이 될 수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비타민C의 암 차단 효능을 증명하려는 수많은 과학자들의 시도가 실패한 이유는 독성
물질
때문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또한 그는 “그렇다고 비타민C가 암을 유발한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비타민C는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라이너스 폴링에 의해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진 후 감기 등의 ... ...
전자 및 광학재료실험실 포스트 D램 반도체 시대 연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된다.1921년 베라섹이 로셀염이라는 강유전체를 발견한 이후 현재까지 10여개의 강유전체
물질
이 선보였다. 이런 강유전체를 기존의 실리콘 대신 메모리소자로 사용하면 새로운 형태의 반도체 메모리가 탄생한다. 이것이 바로 포스트 D램 시대를 이끌 것으로 기대되는 F램 반도체다.F램 반도체의 ... ...
이전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