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뿔
모
모서리
귀퉁이
각도
호른
각성
d라이브러리
"
각
"(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4 나는 과연 정상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끝나게 된다.사춘기때 나타나는 신체변화를 흔히 제2차 성징이라 한다. 그 출현 시기는
각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개 다음과 같은 순서로 나타나게 된다. 남자는 첫째 음경과 고환, 즉 생식기가 커진다. 둘째 생식기주위에 음모가 나타나고 셋째 액모, 즉 겨드랑이에 털이 나타나며 목소리가 ... ...
측우기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염려하여 비 오시기를 비는 마음으로 이 측우기를 만들었다는 내용의 명문을 4면에 조
각
하고 있다.한편 국립과학관에 있는 1811년의 측우대는 순조 때에도 측우기가 만들어졌음을 말해준다. 기록에 의하면 그 해에도 봄에 가뭄이 매우 심했다고 한다. 여기서도 측우기가 가뭄의 해소를 하늘에 ... ...
선택과목은 어떻게 선택하고 공부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새로 나오고, 최소한 이과 학생들에게는 과학시험을 전과목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생
각
합니다. 또 과학교사나 학생들은 과학을 대학입시를 위한 방편으로 여기는 태도에서 벗어나야 하겠지요. 말로만 '생활과학'을 외치지 말고 실제로 과학을 생활화하는 여건이 조성되기를 바랍니다.특히 ... ...
세체개발에 바친 50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문자라는 '한글' 우리는 이 한글을 아름답고 보기좋게 다듬는 작업을 소홀히 해오지 않았던가. 한글학자 한갑수씨는 일찌기 한글에 대해 이렇게 말 ... 일흔하나에 특채형식으로 회사에 들어오게 됐으니 아마 우리나라에에서 최고령 취업자가 아닐까 생
각
한다 ... ...
말하는 컴퓨터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주위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알고리즘의 연구가 필요하다.새로운 정보입출력 수단으로
각
광컴퓨터가 정보를 이해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그중 대표적으로 널리 쓰이는 것이 키보드에 의한 문자입력방식. 그러나 손으로 일일이 키보드를 두드리지 않고 음성을 직접 컴퓨터가 알아 듣는다면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의하여 암석들이 녹아서 용융물질들이 만들어진다. 이 용융물질들은 압력이 낮은 곳인 지
각
(地殼) 쪽으로 상승하여 지하 3~5㎞의 마그마 쳄버에 모였다가 자체 압력을 견디다 못하여 열곡같은 깊은 틈새인 약선대를 통하여 용암을 분출시킨다. 이런 화산활동은 사이다병을 흔들었다가 갑자기 마개를 ... ...
자원식물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풍부한 식물자원이 남아 있으나 보존할 태세가 갖추어져 있지 않다. 그중 특히 심
각
한 곳이 중국으로 본토가 넓고 자원이 많은데도 수집보존 전문가가 적다.그래서 국제식물유전자원이사회가 지원하게 되었다. 지난 85년 개설된 중국 종자은행은 미국 록펠러재단의 지원으로 87년부터 종자저장을 ... ...
북한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확률과정론에 대한 연구는 수리물리 기계공학 정보이론 등에 대한 활용이 클 것으로 생
각
된다.물리분야는 반도체 초음파 유체역학을 비롯 플라즈마 레이저 광학 등 최신과학에 대한 연구과제가 많이 발표되고 있다. 실험물리 측면에서 반도체 및 결정체에 관한 것이 주축을 이루며 자동화공업을 ... ...
표준한글코드, 문제점은 없는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원한 문화창달을 위한 밑바탕으로서의 글자인 한글을 생
각
할 때 컴퓨터가 한글문화의 풍부함을 제한해서는 안된다. 2바이트에서 문제가 있다면 3바이트를 써서라도 한글의 품위를 손상하지 않도록 다시 표준을 정해야 할 것이다 ... ...
파동역학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따라서 B음이 A음보다 더 큰 소리다.3. (3)두 파동이 중첩되어 만들어지는 파동은
각
파동의 변위의 합과 같다.4. (2)진동수가 서로 다른 소리가 만나면 소리가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맥놀이가 일어난다. 두 소리의 진동수 차가 클수록 맥놀이는 자주 일어난다. A의 맥놀이가 B맥놀이보다 두배 자주 ... ...
이전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