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스페셜
"
크기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3억km 떨어진 '소행성 비밀' 싣고 온 日탐사선, 샘플 투척 후 또 탐사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4
많았고 착륙 장소를 찾는 데 시간이 소요됐다. JAXA는 류구 표면에 있는 암석 1만여 개의
크기
를 측량했고, 적도 근처의 장소(L08E1)을 최종 착륙 지점으로 선정했다. 이로써 하야부사2는 탄소질 소행성에 착륙한 최초의 소행성 탐사선이 됐다. 소행성은 태양계 우주 공간에서 발생하는 태양풍과 ... ...
하늘 위 실험실 성층권 풍선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4
들지만 성층권 풍선은 운용 비용이 100분의 1에서 10분의 1로 저렴하다. 인공위성은
크기
에 제한이 있지만 성층권 풍선은 지상에서 사용하는 장비를 그대로 띄울 수 있다. 언제든 회수하거나 반복해 재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이런 이유로 과학자들은 우주에서 사용할 각종 ... ...
[소재의 미래]⑶용접도 대신할 절대 안떨어지는 궁극의 접착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3
최 교수팀이 개발한 중간체를 넣은 접착제는 강력한 접착력을 보인다. 3제곱미터
크기
의 철과 알루미늄에 쓰였을 때 2~3g 접착제만으로 700kg의 접착력을 보인다. 700kg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 철과 알루미늄이 떨어진다는 의미다. 최 교수는 “이 정도 접착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철과 ... ...
노벨물리학상·007시리즈 배출한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세월 앞에 무너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2
500m인 중국의 구면전파망원경(FAST)이 등장하기 전까지 단일 망원경 중에는 전 세계에서
크기
가 가장 컸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주로 외계에서 오는 신호를 포착하는 연구에 활용됐다. 또 1974년에는 직접 외계인을 찾기 위해 마이크로파 형태의 '아레시보 메시지'를 허큘리스 대성단을 향해 ... ...
[랩큐멘터리] 미래 식량 보장하는 식물의 신진대사
동아사이언스
l
2020.12.01
이동 경로인 ‘체관’ 발달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발견하고 이를 적용해 식물의 씨앗
크기
와 무게를 최대 40%까지 늘리는 데 성공한 것이다. 국내에 식물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대학 연구실은 10곳 남짓이다. 바이오 분야에서는 덜 주목받는 편인 식물 연구를 하는 이유에 대해 연구팀은 ‘빌 ... ...
구글 AI, 생명과학의 미스터리 단백질 접힘 문제 해결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20.12.01
맞은 ‘단백질 구조 예측 학술대회(CASP)’ 단백질은 아미노산의 집합체다. 평균적인
크기
의 단백질은 20종류의 아미노산이 300개 정도 이어져 만들어지고,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은 서로 밀거나 당기면서 구부러지고 비틀어진다. 아미노산 서열이 단백질의 구조와 특징을 결정하는 셈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 핵융합 ‘중성미자’ 첫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20.11.28
촉매 역할을 하면서 헬륨으로 융합되는 ‘CNO 순환’ 핵융합 반응이 있다. 태양과
크기
가 비슷한 항성이 만들어내는 에너지의 대부분인 99%는 PP연쇄반응으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은 기존 연구를 통해 충분히 알려져 있다. 그러나 CNO 순환 핵융합의 경우 이를 통해 만들어지는 중성미자는 하루에 ... ...
[랩큐멘터리]당뇨 진단하고 치료하는 똑똑한 콘택트렌즈의 산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6
위험을 미리 예방하는 렌즈도 개발됐다. 나노소재는 10억 분의 1m에 불과한 나노미터(nm)
크기
의 소재다. 연구실은 진단과 치료 모두에 나노소재를 활용하는 나노의학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진단을 스마트 콘택트렌즈가 담당한다면 치료에서는 약물을 원하는 곳에 전달하는 나노모터와 치료용 ... ...
[코로나19 연구속보] 개는 코로나19 냄새를 맡을 수 있을까
2020.11.25
과학자 커뮤니티가 개가 코로나19 식별에 얼마나 유용한지 평가하기 전에 먼저 샘플
크기
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고자료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0-03149-9 https://bmcinfectdis.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s12879-020-05281-3 ※출처 : 한국과학기자협회 포스트 https://post.naver.com/viewer ... ...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5
MOF는 대부분 1g당 비표면적이 1800~4300m2에 이른다”며 “쉽게 말하면 MOF 1g 안에 축구장
크기
의 면적이 숨어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2000년대부터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와 협력해 다양한 MOF를 개발하고 응용 분야를 개척했다. 2008년 MOF를 활용한 수분 흡착제를 개발해 원천특허를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