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스페셜
"
꼭
"(으)로 총 730건 검색되었습니다.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예를 들어 심각한 장염증질환인 셀리악병(celiac disease)도 글루텐에서 원인을 찾고 있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고. 즉 글루텐 민감성인 사람들은 소화계의 증상이 덜 심각하고 두통 같은 다른 증상도 보이는 반면 셀리악병처럼 심각한 장 손상이나 염증은 보통 나타나지 않는다고. 그럼에도 사람들은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그동안 설필리민 결합 반응에 브롬 외에 염소이온(Cl-)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브롬이
꼭
필요한 건 아니라고 여겨졌다. 그러나 이번에 자세한 비교실험 결과 이 반응을 촉매하는데 브롬이 염소보다 5만 배 이상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염소의 경우 메티오닌에 하이드록시라이신보다 ... ...
배에 실려 온 외래생물종의 습격!
KISTI
l
2014.06.05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평형수 처리 기술 개발은 해양 생태계의 파괴를 예방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 그리고 경제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우리나라가 해외로 진출할 수 있는 신규 시장이 열리는 기회이기도 하다. 현재 국제해사기구의 승인을 받은 관련 기술 31건 가운데 11건(35.5%)을 국내 기업이 ... ...
[생활속의 기술] 무중력 자세로 운전한다
KOITA
l
2014.05.16
“아, 왜 이렇게 느린 거야?” ‘015’를 누르기 귀찮아 ‘▲’를 눌러 텔레비전 채널을 올리기 시작했다. 채널 10개를 바꾸는 데 10초가 흐른 ... 걸 넘어, 소비자가 자동차의 정체성과 자신을 일체화하도록 만드는 것, 그게 바로 나와
꼭
맞는 인간공학적 자동차를 만드는 마지막 단계입니다 ... ...
“새로운 교육플랫폼을 만들고 싶습니다”
KAIST
l
2014.05.15
우린 그걸 비전으로 하려 한다. 학부모들에게 다양한 진로를 알려주는 것부터 시작해서
꼭
공부가 아니더라도 학생들이 좋아하는 것들로 성공하는 길, 그런 이야기들과 공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것까지. 아이엠스쿨이 그런 비전들을 구체화해 나갈 것이다. 마지막으로 창업을 꿈꾸는 ... ...
[기술이 바꾼 미래] 밤을 낮으로 바꾼 전등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04.29
배나 컸다. 이 전등에는 많은 별명이 붙었는데 툭하면 꺼지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게
꼭
건달을 닮았다고 해서 ‘건달불(乾達火)’이라고 했다. 또한 발전기 가동으로 연못의 수온이 올라 물고기가 떼죽음 당하자 물고기를 찐다는 뜻의 ‘증어(蒸魚)’라고 불렸으며 연못 물을 먹고 건청궁 처마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되는 죽은 나무에서 소리가 나는 것 같은데 빙 둘러봐도 새는 안 보인다. 그런데 소리가
꼭
나무 속에서 나는 것 같다. 자세히 보니 필자 눈높이보다 20cm쯤 더 높은 지점에 지름 4cm 정도의 구멍이 뚫려있고 그 안에서 소리가 요란하다. ‘뭐야, 이 안에 새가 있나?’ 이런 생각을 하는 순간 소리가 ... ...
[생활 속 기술]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
KOITA
l
2014.04.17
더운 곳에서 건조시켜 버섯 균사의 성장을 중단시키는 것뿐이다. 이렇게 만든 재료는
꼭
때가 조금 탄 스티로폼과 비슷해진다. 하얗고 고른 외양은 아니지만, 냉장고 쯤은 거뜬히 지탱할 수 있을 있을 정도로 강하고 불에도 타지 않는 내연성을 지닌다. 균사체가 실처럼 생긴 네트워크를 이루고 ... ...
[재미있는 특허이야기]실패한 풀의 화려한 재탄생, ‘포스트잇’
KOITA
l
2014.04.10
있었다. 그런데 이 접착제를 본 동료들의 반응은 썰렁했다. 접착제는 한 번 발라놓으면
꼭
달라붙어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기 때문이다. 결국 붙었다가 쉽게 떨어져 버리는 이 접착제는 쓸모를 찾지 못하고 실패작으로 버려질 위기에 처했다. 실버는 포기하지 않고 접착제의 용도를 찾기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주류와 비주류다. 그런데 한 교수는 굉장히 세련된 담론으로 악과 대립하는 게
꼭
선인 것만은 아님을 설득력있게 보여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과거 군사독재 같은 ‘규율사회’에서 지금은 개인이 능력만 있으면 무엇이든 할 수 있고 될 수 있는 ‘성과사회’가 됐다지만, 그렇다고 해서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