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그림"(으)로 총 628건 검색되었습니다.
- 말 많은 양자컴퓨터, 오해와 사실IBS l2014.12.10
- 보조연산장치로 달아놓은 것과 비슷하다. 탈륨/실리콘(111)의 원자 구조를 위에서 본 그림. 빨간색과 초록색은 각각 탈륨과 실리콘 원자를 나타낸다. 파란색 화살표는 원자 구조의 대칭성을 보여주는 거울 면이다. ⓒ 염한웅 이러한 난점의 핵심은 바로 큐비트를 제대로 제어하기 어렵다는 데 있다. ... ...
- [이달의 역사] 입 밖으로 나온 소리, 녹음 기술로 주워 담는다KISTI l2014.12.08
- 내뱉은 말은 다시 주워 담을 수 없다.’라는 속담이 있다. 글은 종이에 기록하고 모습은 그림으로 담아내지만 소리는 발생하자마자 사라지기 때문에 잡아두지 못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인류 최초로 소리를 붙들어 기록한 사람이 있다. 프랑스의 인쇄업자 에두아르 레옹 드 마르탱빌(Edouard-Leon de ... ...
- 온타케산 분화로 본 화산 예측의 어려움KISTI l2014.12.01
- 2014년 9월 27일, 이웃 일본으로부터 온타케 화산 재해로 56인의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애석한 뉴스가 전해졌다. 사망자들의 대부분은 당시 온타케를 ... 그림 2. 백두산 천지 아래 있는 마그마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 단면도 글‧그림 :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학박사 ... ...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습지 지리여행(Wetland Geotravel)동아사이언스 l2014.11.24
- 아는 만큼 보인다! 여행을 제대로 하려면 뭘 좀 알아야 하죠. 하지만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그래서 과학향기에서 5월부터 새롭게 지리여행을 테마로 ...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교수(http://jotra.com), 문화체육관광부 생태관광컨설팅위원장(MP) 사진, 그림 : 박종관 교수 ...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2014.11.17
- 꽤 낮아지나 보다. 그림에서 오른쪽 흰 점이 태양이다. 태양의 지름은 지구의 109배이니 그림에서 지구는 보이지도 않을 크기다. 태양질량의 100배가 넘는 거대한 별은 우리은하에서도 수십 개에 불과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수명이 매우 짧으므로). 모쪼록 추가관측을 통해 W49nr1의 질량이 추정치의 ... ...
- 제2의 석기시대를 지탱하는 신기술IBS l2014.11.13
- 한다. 실리콘을 넘어서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도 스핀트로닉스를 연구중이다. 그림은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단장 염한웅)이 최근 발표하여 에 수록된 스핀 분극 방법에 대한 논문에서 발췌한 것으로, 연구에 활용한 탈륨/실리콘(111)의 원자 구조를 위에서 본 모습이다. 빨간색과 ... ...
- 착한 갑상샘암?! 그러나 암은 암이다KISTI l2014.10.27
- 그리고 보건당국의 의견은 어떤 것인지 최근 갑상샘암을 둘러싼 논란을 짚어봤다. 그림1. 갑상선(갑상샘) 위치 및 구조. 출처: 국립암센터 ■ 국내 여성 발병률 평균치보다 10배 높아 갑상샘은 열에너지 대사 및 영양 대사를 적절하게 유지시켜주는 갑상샘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이다. 기능이 ...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⑦] 생물의 에너지, 바이오매스2014.09.22
- 지구의 기후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는 화석연료 대체자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림 1] 목재 연료들. 왼쪽부터 순서대로 장작(화목), 연료용 목재 칩, 호그 칩. 사진 출처 : 국립산림과학원 그러나 장작이나 연료용 칩 등은 화석연료에 비해 열량이 적고 부피가 커서 보관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 ...
- 비전통자원, 셰일가스와 가스 하이드레이트2014.09.15
- 이에 2000년도 초반부터 미국의 텍사스주를 중심으로 개발 붐이 일기 시작했다. [그림 1] 기존 전통가스와 셰일가스 시추 모식도 미국 에너지정보국(EIA) 조사에 따르면 셰일가스의 매장량은 2012년도 기준으로 약 1019조 4065억 ... ...
- 독창적인 광유전학기술로 뇌 비밀 밝힌다IBS l2014.09.04
- 제어한다는 새로운 분야다. 허 교수팀이 개발한 '광유도 분자올가미'를 형상화한 그림. 이 올가미를 이용하면 특정 단백질을 움직이지 못하게 가둬 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 - IBS 제공 허 교수에 따르면, 스탠퍼드대 칼 다이서로스(Karl Deisseroth) 교수가 광유전학이라는 새로운 연구분야를 개척했다.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