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뉴스
"
해독
"(으)로 총 629건 검색되었습니다.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분자생물학과 진화’ 8월 11일자에는 사카로미세스 유바야누스의 좀 더 정확한 게놈
해독
과 함께 길들여진 과정에 대한 논문이 실렸다. 이에 따르면 파스토리아누스의 자츠 타입과 프로흐버그 타입은 거의 비슷한 유바야누스와 서로 꽤 다른 빵효모 균주 사이에서 따로따로 만들어진 잡종이다. ... ...
문어 게놈 첫 완전
해독
2015.08.16
시작한 시기보다 더 오래된 5억 년 전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문어의 유전체 전체가
해독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문어에 세포를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카데린’ 유전자가 특히 많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문어는 카데린 유전자만 168개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무척추동물의 10배에 ... ...
‘유전적 사촌’ 매머드와 코끼리, 뭐가 다를까요
2015.07.03
크다. 연구팀은 먼저 2만~6만 년 전에 죽은 것으로 추정되는 털매머드의 유전정보를
해독
했다. 유전정보를 구성하는 DNA가 안정적인 물질이긴 하지만 시간이 오래 지날수록 훼손될 수 있는 만큼 연구진은 정확한 유전정보를 얻기 위해 20번 이상 반복적으로 DNA를 읽었다. 이후 이들을 아시아 코끼리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6.29
대략 1000억 개의 뉴런이 있고 각 뉴런이 1만 개 이상의 시냅스와 연결돼 있는 인간의 뇌를
해독
하는 데는 얼마만큼의 시간이 걸릴지 예상하기 어렵다. 이 교수는 “설사 한 사람의 뇌 지도가 만들어져도 뇌에는 개인차가 많기 때문에 이를 인공지능 연구에 보편적으로 활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 ...
솔직히, 터미네이터가 인간을 위협할 수 있을까요
과학동아
l
2015.06.26
뇌에 대해 아는 게 거의 없다. 약 1000억~1조 개의 뉴런(뇌 신경세포)으로 이뤄진 뇌를
해독
하기까지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 예상하는 일조차 쉽지 않다. 이성환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는 “인간이 뇌를 연구한 지 100년이 넘었지만 뇌 전체 기능을 밝히는 연구는 아직도 걸음마 수준”이라며 “뇌의 ... ...
신약 후보물질도 ‘바코드’ 찍어 확인
2015.06.08
고유한 바코드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물질이 내는 신호를 바코드 형태로 바꿔
해독
하는 알고리즘도 함께 개발해 분석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켰다. 이 교수는 “바코드 시스템을 활용하면 수많은 생체 화합물 군을 고속으로 손쉽게 분석할 수 있다”면서 “신약 후보물질을 비롯해 다양한 ... ...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
수학동아
l
2015.05.27
전 세계 수많은 언어학자들과 암호전문가, 심지어 수학자들까지 매달려 책 내용을
해독
하려고 했다. 그러나 단 한 단어의 뜻도 밝혀내지 못했다. 보이니치 문서 속 꽃 그림 보이니치 문서에서 사람의 안구를 비유한 듯한 그림. 어떤 학자들은 외계인이 이 책을 만들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 ...
아침형 인간 vs. 저녁형 인간, 유전자 80여 개가 결정
2015.05.17
존재한다. 연구팀이 ‘RNA염기순서결정법’이란 분석방법을 통해 두 집단의 유전자를
해독
했다. 그 결과 80여개의 유전자가 생체리듬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초파리가 가졌다고 알려진 15000여개의 유전자 중 0.5%가 수면에 관여한다는 것이다. 현재까지 아침형·저녁형을 결정하는데 ... ...
그래, 과학은 원래 재미있는 것이었지!
2015.05.17
때문이다. 과학혁명의 구조 한 챕터를 읽기 위해 몇 시간 동안 모국어인 한글을 ‘
해독
’해야만 했던 괴로운 경험을 가지고 있다. 결국 두 번째 챕터로 넘어가는 데는 실패했지만 시험공부 하듯 뚫어져라 읽었기 때문인지 그 핵심 내용만큼은 명확하게 기억하고 있다. 토머스 쿤은 과학의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이 로키아케움이나 로키2보다도 진핵생물과 더 가까운 것으로 나온다. 즉 게놈이 거의
해독
돼 이번 논문에서 비교 연구에 주로 쓰인 로키아케움보다 진핵생물에 더 가까운 고세균이 앞으로 더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다. 영국 뉴캐슬대의 마틴 엠블리 교수와 탐 윌리엄스 교수는 이 논문에 대한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