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블루
blue
블루우
뉴스
"
파란색
"(으)로 총 629건 검색되었습니다.
쿵쾅쿵쾅 볼륨 높은 클럽에서 귀 안 먹는 이유
2015.05.07
0db정도의 소음이 있는 환경에 1주일간 머무른 쥐(아래)의 청신경 시냅스(
파란색
)가 보통 환경(위)에 머무르던 쥐에 비해 확대된 것을 볼 수 있다. - PNAS 제공 길거리에서 이어폰으로 음악을 들으며 걷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볼륨을 크게 높이고 음악을 들을 경우 청력에 ... ...
첨단과학 이끄는 광학기술 현주소
2015.05.03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난해하다. 구불구불 얽혀 있는 보라색 튜브에서
파란색
파편이 사방으로 튀어나가는 듯한 모습이다. 표지 그래픽의 실체는 ‘레이저’와 ‘자외선’이다. 나선 모양으로 진행하는 레이저(보라색)가 원자와 충돌하면서 전자가 떨어져 나왔다가 다시 원자와 ... ...
미나리와 보톡스, 페니실린의 공통점은?
2015.05.03
동물도 있다. 바로 딸기독화살개구리다. 머리부터 허리까지는 빨간색이지만 다리는
파란색
패턴이 있어 청바지를 입은 것 같다고 해서 ‘코스타리카 블루진’이라고도 불린다. 이 개구리가 특이한 색을 가지게 된 까닭은 자신을 보호하는 독(毒)을 품었기 때문이다. 개구리는 독을 갖고 있어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
2015.04.27
전에는 태양에서 직접 오는 빛은 없고 주변에서 반사된 빛인데 상대적으로 짧은 파장, 즉
파란색
의 비율이 높다. 반면 일단 해가 뜨면 가시광선의 중간인 노란색 영역의 비율이 크게 늘어난다. 한편 비교군인 빛의 유무 조건은 동일한 파장 조성의 빛이 비춘다. 지금까지 해온 일주리듬 실험 ... ...
타이레놀 먹으면 ‘포커페이스’ 된다?
2015.04.15
보였느냐’는 질문을 추가했다. 그 결과 아세트아미노펜 섭취 여부와 상관없이
파란색
농도를 비슷하게 인식했다. 덜소 제프리 연구원은 “진통제가 사람의 심리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얘기가 있었지만 실험을 통해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부프로펜이나 아스피린 등 ... ...
우주 저 먼 곳, 원시별의 진화를 생중계로 보다
2015.04.03
‘W75N’ 안에 있는 어린별 ‘VLA 2’가 위아래 방향으로 먼지와 가스를 내뿜고 있다(
파란색
).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진은 2013년 이 과정을 세계 최초로 발표한 데 이어 최근 이를 한 차례 더 관측해 주목받았다. - 멕시코국립자치대(UNAM) 천문연구소 제공 제공 지구에서 약 4000광년 떨어진 우주 공간. ... ...
늦은밤 식욕 억제 방법…식탁과 식기 색상을 ‘이것’으로 바꿔라?
동아닷컴
l
2015.03.25
것이다.
파란색
은 식욕을 억제하는 시각적 효과가 있어 자주 이용하는 접시와 컵 등을
파란색
으로 바꿀 경우 과식과 음주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늦은밤 식욕 억제 방법 두 번째는 탄산수 마시기다. 탄산수를 마시면 배가 차게 돼 배고픔이 사라진다. 늦은 밤, 배고픔이 밀려온다면 물보다 더 큰 ... ...
원하는 빛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특히 껍질의 구조가 6㎛(마이크로미터)인 실리콘 나노선의 경우 껍질이 얇은 부분은
파란색
빛만을, 껍질이 두꺼운 부분은 초록색 빛만 주로 합성했다. 또한 연구팀은 합성 조건에 따라 껍질의 두께와 주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가스 주입량이 많아지면 나노선 껍질의 주기가 ... ...
남극바다서 사는 문어, 헤모시아닌 농도 40% 높아 ‘놀라워라’
동아닷컴
l
2015.03.17
방식이다. 이로 인해 산소와 결합하지 않았을 때는 피가 무색이다가 산소와 결합하면
파란색
으로 변하게 된다. 헤모시아닌은 산소 결합능력은 헤모글로빈보다 낮지만, 낮은 온도에서도 잘 작동하는 특징이 있다. 남극바다서 사는 문어는 다른 지역에서 사는 문어보다 헤모시아닌의 혈중 농도가 40 ... ...
드라마 ‘스샷’ 찍듯 단백질 반응 찍는다
2015.03.17
든 물방울(
파란색
)과 산성 물방울(붉은색)이 만나 ‘융합 물방울’을 형성한다. 반응이 진행 중인 물방울을 가열된 모세관으로 흡수하면 그 순간 화학반응이 멈춘다. 질량분석법을 통해 화학반응 과정 중의 순간 상태를 관찰할 수 있게 됐다. - IBS 식물노화·수명연구단 제공 우리 몸 세포 속에서는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