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동
자율
뉴스
"
자발
"(으)로 총 5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길버트는 이미 삼 년째 분자생물학 논문을 쓰고 있었다. 그러다 1962년 다시 입자물리학(
자발
적 대칭성 깨짐)에 관심을 가지면서 두 분야 연구를 병행하고 있었다. 이휘소의 논문을 반박한 1964년 6월 22일자 논문이 길버트가 쓴 입자물리학 분야의 마지막 논문이었다. 7월 16일 이 논문을 입수한 ... ...
20대가 28% 최다… 에이즈환자 어려져
동아일보
l
2014.12.01
대한 경각심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대한에이즈학회에 따르면 신규 감염자 중
자발
적 검사를 통해 감염 사실을 알게 된 비율은 2004년 16.5%에서 2013년 13.3%로 떨어졌다. 그만큼 경각심이 떨어져 검사를 받지 않는다는 의미다. 이는 에이즈가 초기 ‘죽음의 병’이라는 인식에서 지금은 ‘당뇨병처럼 ... ...
[과학 발언대] “시리어스 게임은 시리어스 비즈니스다”
2014.11.18
압력밥솥 같은 창작 방법론을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의 잠재력을 최대치로 이끌어내며
자발
적인 협력을 이루게 된다“고 말했다. 필자 역시 운영위원으로 지난 2년간 게임잼을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던 것은 학생들의 순수한 열정과 거침없는 도전정신 때문이었다. 좋은 게임을 만드는 ... ...
종이처럼 접히는 마이크로 로봇 나왔다
2014.11.06
인체에 무해한 것이 특징이다. 나준희 매사추세츠주립대 박사후연구원은 “
자발
적인 가역반응이 가능한 3차원 미세구조물을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재료과학 저널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KAIST, 국내 첫 ‘재난학연구소’ 설립
2014.10.22
참사의 시작이 어디인지를 고민해야 한다는 요구가 이어지는 가운데, KAIST 교수들이
자발
적으로 전문가 집단이 사회문제 해결에 참여해야 한다며 재난학연구소 설립에 나선 것. 이 연구소는 인문학과 과학기술을 융합한 정책개발, ‘안전우선’의 시민의식 고취, 시민사회와 정부의 역할분담,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개념이 상당히 반영돼 있다. 즉 물분자가 모여 눈결정이 형성되는 것처럼 세포가 모여
자발
적으로 특정한 구조를 갖는 조직이나 기관이 형성된다는 것. 리뷰 논문을 읽다 필자는 문득 사사이 박사가 오보카타를 적극 돕게 된 이유를 알 것 같았다. 즉 오보카타가 수소이온농도(pH) 변화나 모세관 ... ...
그래핀으로 DNA 염기서열도 분석한다고?
2014.09.11
구멍의 모양과 크기를 조절하는 데도 성공했다. 금 나노입자는 구멍을 뚫은 뒤에는
자발
적으로 그래핀에 달라붙어 ‘금 나노입자-그래핀 나노포어 하이브리드 구조체’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 교수는 “이번 성과를 이용하면 그래핀으로 DNA 염기서열을 해독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도 ... ...
원자층 쌓는 순서 조작해 신소재 뚝딱
2014.08.18
쌓는 과정을 방사광 X선으로 관측한 결과, 일부 원자층의 순서가 뒤바뀌는 '층간
자발
적 재배열 현상'을 발견했다.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인 과학자가 포함된 국제 공동 연구진이 원자 층을 정밀하게 쌓는 기술을 개발해 에너지 분야의 신소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준혁 ... ...
존 벨, 아인슈타인과 보어가 발견하지 못했던 것을 발견한 물리학자
2014.07.14
재현할 수 없다’는 게 정리의 요지다. 벨의 사고실험은 스핀이 0인 입자가
자발
적으로 붕괴하면서 두 개의 전자 A와 B가 만들어지는 상황이다. 스핀은 보존되므로 한 전자가 스핀-업(+1/2)이면 다른 전자는 스핀-다운(-1/2)이어야 한다. 벨은 두 전자가 충분히 멀어진 뒤 개별 전자의 양자 스핀을 ... ...
이렇게 공부하면 상대성이론도 OK!
과학동아
l
2014.07.06
자연과학 문화운동단체다. 이곳은 ‘나도 과학공부 좀 해 보고 싶다’는 사람들이
자발
적으로 모여든다. 누구도 등을 떠밀지 않지만 회원들끼리 알아서 스터디 그룹을 짜고, 밤을 새서 공부한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발표를 한다. 이렇게 모인 회원 수가 이미 3600명을 넘어섰다. 이런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