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장이자율
자율
시장
마켓
마킷
이자율
뉴스
"
시장이
"(으)로 총 4,884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음'도 소리다? 뇌에겐 그렇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11
무음도 소리로 인식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 뱅크 무음도 우리 귀에 '들릴까'. 무음은 말그대로 '소리가 없는 상태'를 뜻하지만 뇌는 무음까지도 소리로 인식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심리·뇌과학와 철학의 학제간 연구를 진행하는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팀이 10일(현지시간) ... ...
[레디!퓨전] "핵융합, 지구촌에 전기 공급할 날 가까워"…전문가들 700명 운집
동아사이언스
l
2023.07.11
10일 영국 옥스퍼드에서 개최된 '핵융합공학심포지엄 2023(SOFE2023)' 강연장을 가득 채운 청중. 옥스퍼드=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편집자주] 에너지는 경제성장, 국가안보와 직결됩니다. 석유 등 화석연료 기반 에너지원은 일부 국가가 선점하고 있는 데다 탄소중립이라는 전지구적인 도전에 직면하 ... ...
차세대 원전 ‘SMR’ 성공 위해 민·관 공동 협력
동아사이언스
l
2023.07.10
사업비를 투자해 차세대 한국형 소형모듈원자로(SMR)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혁신형 SMR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2030년대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안전성, 경제성, 유연성을 갖춘 SMR을 개발한다는 목표다. 혁신형 SMR은 국내 원전 기술인 SMART 개발을 통해 확보한 원천기술에 모듈화 설계, ... ...
[주말N수학] 지구 궤도 시한폭탄 '우주 쓰레기'도 재활용한다
수학동아
l
2023.07.08
지구궤도를 떠도는 우주 쓰레기.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최신 연구 결과에 따르면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지름이 약 930억 광년인 구체다. 그 너머에 아무것도 없을지 아니면 무한한 우주가 펼쳐질지 아직 아무도 모른다. 인간이 만든 우주 비행체 중에 가장 멀리 날아간 보이저 1호는 2023년 1월을 ... ...
식량위기 대안될까…EU, '유전자교정 작물' 규제 완화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프란스 티메르만스 EU 집행부위원장이 5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유럽연합(EU)이 유전자교정 작물(NGT)에 대한 규제 완화를 추진한다. 유전자교정 작물이 지속가능한 농업과 식량 조달 시스템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로이터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5일 ... ...
챗GPT 인기 주춤? 출시 후 ‘방문자 수’ 처음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상위 20개 웹사이트 중 하나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1일 앞으로 10년 후 생성형 AI
시장이
30배 이상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 4월 AI 생태계 대비 및 미래산업 육성을 목적으로 올해 AI에 3901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생성형 AI 시장의 수혜자가 되기 위해 국내에서도 많은 ... ...
[의학바이오게시판] 휴온스바이오파마 ‘리즈톡스’ 품목허가 취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7.05
휴온스바이오파마의 보툴리눔 제제인 ‘리즈톡스주100단위’. 휴온스바이오파마 제공.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가출하승인을 받지 않고 국내 판매가 진행된 휴온스바이오파마의 보툴리눔 제제 ‘리즈톡스주100단위’를 18일 허가 취소하겠다고 밝혔다. 수출 전용 의약품인 이 품목이 국내 판매용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로음료 감미료 '아스파탐' 발암성 '진짜 의미'
2023.07.04
제로칼로리 탄산음료에 든 감미료 ‘아스파탐’의 인체 발암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기가 뜨겁게 치솟고 있는 ‘제로 슈가’ 제품에 사용되는 대체 감미료 중 하나인 ‘아스파탐’의 인체 발암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의 국제암연 ... ...
도심항공교통 소재·재생에너지 저장 기술 개발 위한 융합연구단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03
재활용 가능한 미래 에어모빌리티 구조용 소재·부품 경량화 플랫폼 기술. NST 제공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는 ‘에어모빌리티 소재’, ‘메타버스 촉감 구현’. ‘재생에너지 저장 및 변환’, ‘디지털 영농기술’ 등 4개 분야의 신규 융합연구단이 새롭게 출범한다고 3일 밝혔다. NST가 2014년부 ... ...
4년만에 열린 전세계 과학영재들 축제...환경에 초점 맞춘 연구 쏟아져
2023.07.03
지구환경 분야에 참가한 KSA-싱가포르 NUS고등학교 공동연구팀이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KSA 제공. '개한테 물린 후와 사람한테 물린 후 생긴 박테리아는 어떻게 다를까.' 지난 28일 부산 소재 한국과학영재학교에서 네덜란드의 고등학교 '오둘푸드 리세움'에서 온 영재들이 이처럼 다소 엉뚱하지만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