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눈초리
눈길
주의
눈꼬리
관심
이목
타인
뉴스
"
시선
"(으)로 총 1,030건 검색되었습니다.
[때와 곳 16] 야영지: 일상에서 가장 먼 곳
2017.08.05
야영만의 재미가 그곳에 있을 테다. ※ 편집자 주 [마음을 치는 시(詩)]와 [생활의
시선
]에 연이어 윤병무 시인의 [때와 곳]을 연재합니다. 연재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시간과 장소’에 초점을 맞춘 또 다른 이야기입니다. 그 ‘시간’은 오래되어 역사의 범주일 수도 있고, 개인 과거의 추억일 ... ...
흥미진진한 막장 드라마?! ‘우리가 들려줄 이야기’
2017.08.05
퍼지기에 이르렀고, 아이러니하게도 이 사건에서 영감을 얻은 ‘두 아빠’가 각자의
시선
으로 글을 쓰고 출판을 하려 하자 깊이 고민하던 사라는 본인이 직접 다큐멘터리를 찍기로 결심한다. 자신이 늘 그리워했던 엄마를 주인공으로 삼아서. # ‘1979년생 사라 폴리’ (주)영화사 조제 제공 TV ... ...
오지랖 넓은 한국사회에서 자신을 되돌아 보는 방법
2017.07.30
혼자 뭔가를 하는 사람들이 늘었다고 해서 무턱대고 비사회적이라는 등의 이상한
시선
을 보내는 경우들이 있다. 그런데 혼자는 정말 이상한 걸까? GIB 제공 헨리 데이빗 소로우(Henry David Thoreau)는 미국 메사츠세츠주 월든 호수 근처에 집을 지어 몇 년 간 홀로 숲 속 생활을 했다. 그 이야기를 엮은 ... ...
420kg짜리 상어 잡혀
팝뉴스
l
2017.07.30
입장이다. 사정이 어떻건 사진 속 상어는 크기가 압도적이라, 해외 언론과 네티즌들의
시선
을 사로잡는 데 성공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인간이 생명을 창조할 수 있을까 …무더위 날릴 ‘과학 바캉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9
제목으로 뇌와 인공지능의 원리를 피아노 강연과 함께 설명하는 독특한 강연으로
시선
을 모았다. 장 박사는 “인공지능이 발전하고 있지만 인간의 행복은 결국 인간과의 관계에서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공신체 정말 만들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임창환 한양대 생명공학과 교수가 ... ...
스마트폰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해외 앱들
과학동아
l
2017.07.27
바란다”고 밝혔다. 미국 뉴욕주립대 버펄로캠퍼스 컴퓨터공학과 학부생 조근우 씨는
시선
추적으로 자폐를 진단하는 앱을 개발했다. - SUNY Buffalo 제공 마이크● 소리로 호흡기 질환부터 조울증까지 2013년 호주 퀸즐랜드대 우단타 아베이레트 교수가 개발한 ‘레스앱’은 기침소리를 분석해 ... ...
아들의 낙서와 아빠의 사랑
팝뉴스
l
2017.07.25
백조도 도미니크의 눈에는 달리 보이는 모양이다. 아빠의 모습도 아이의 눈에는 어른의
시선
과는 전혀 다르게 인식 그리고 표현되었다.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이미지들은 유머 뿐 아니라 아빠의 따뜻한 사랑도 넘친다는 평가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詩로 가는 길목 1] 벚나무를 올려보며
2017.07.22
벚나무의 혈관은 검다. 검은 곳에서 자란 연둣빛 살은 풋풋하다. 이산화탄소만 편식하며 저 혼자 자란 게 아니라 까까머리 때부터 ‘해의 살’이 쓰다듬어 주었기 때문이다, 매 ... 윤병무. 시인. 시집으로 ‘5분의 추억’과 ‘고단’이 있으며, 동아사이언스 [생활의
시선
]을 연재했다 ... ...
과기계 ‘탈석탄’에는 찬성, ‘탈원전’에는 반대
동아사이언스
l
2017.07.20
72% vs 탈원전 ‘불필요’ 66% 설문 응답자들은 탈석탄과 탈원전 정책에 대해 다른
시선
을 보였다. 우선 탈석탄 정책이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자 수는 72%로 3분의 2가 넘었다. 이에 비해 탈월전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과기인은 3분의 1이 안되는 32%로 나타났다. 정책의 실현 가능성을 놓고도 ... ...
[때와 곳 14] 다락방: 마음이 자라는 곳
2017.07.15
없으면 마음은 자라지 않는다. ※ 편집자 주 [마음을 치는 시(詩)]와 [생활의
시선
]에 연이어 윤병무 시인의 [때와 곳]을 연재합니다. 연재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시간과 장소’에 초점을 맞춘 또 다른 이야기입니다. 그 ‘시간’은 오래되어 역사의 범주일 수도 있고, 개인 과거의 추억일 수도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