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비
손모
소각
소면
손상
고갈
카딩
뉴스
"
소모
"(으)로 총 83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홍대 누드모델 몰카' 사건에 주목하는 또다른 이유
2018.05.19
낯설고 불확실한 상황은 그 자체로 큰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적응’에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
된다. 따라서 사람들은 가급적 현재 상황에 큰 문제가 없다면, 익숙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심리적 관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많은 사람들이 ‘우리 사회의 룰이 공정하지 않을 ... ...
[구글 I/O 2018] ② 머신러닝과 웰빙 챙긴 안드로이드P
2018.05.10
자동 밝기를 꺼두는 경우도 있다. 기기가 적절한 밝기를 맞춰주지 못하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
가 많아지기도 한다. 안드로이드P는 기본적으로 자동 밝기 조정 기능이 들어가 있지만 이용자가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밝기를 직접 맞추면 이를 학습해서 점차 원하는 밝기를 유지해준다. 습관을 학습하는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궁극의 웨어러블 로봇 가능할까… ‘아이언맨’
동아사이언스
l
2018.05.08
웨어러블 로봇은 배터리를 달고 움직이며 몇 시간 정도만 소방대원이나 군인의 체력
소모
를 줄여주는 정도다. 전력 문제만 해결된다면 아이언맨 정도는 아니더라도 영화 ‘엣지오브 투모로우’에 등장했던 군사용 웨어러블 로봇 정도는 빠르게 현실에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 톰크루즈가 주연을 ... ...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가지
과학동아
l
2018.04.30
공동으로 황화납 양자점의 표면에서 납 또는 염소 원소의 결함이 나타나기 쉬워 전력
소모
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김 선임연구원은 “양자점 표면에서 원소의 결함이 일어나지 않도록 양자점을 합성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doi:10.1021/acsnano.8b00132 이 외에도 전문가들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 장현갑, ‘호흡명상’ 프로그램에서 가만히 앉아있다가 천천히 걷기 시작하면 산소
소모
량이 세 배로 늘어난다. 만일 호흡량이 빨리 늘어나지 않으면 100m도 못가서 기절할 것이다. - 잭 펠드먼 등, 2013년 ‘생리학연간리뷰’에 실은 호흡의 리듬에 관한 논문에서 지난 가을 어느 날 신문을 ... ...
360만 년 전 조상들도 현생인류처럼 ‘직립보행’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3
구부정하게 걸을 때보다 에너지를 덜 쓴다. 인류가 진화해온 역사를 보면 걸을 때
소모
하는 에너지가 적은 방향으로 진화해왔다는 점을 알 수 있다”며 “360만 년 전 인류 조상들도 기후 등의 환경 변화가 나타나면 새로운 터전을 찾기 위해 더 멀리 이동해야 했을 것이고, 그 과정에서 현대인처럼 ... ...
신체 부담 없이 심장에 페이스메이커 심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7
재수술을 받아야 하는 등 인체에 적잖은 부담이 돼 왔다. 국내 연구진이 전력
소모
가 적고 부피도 작은 심장보조장치를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를 개발했다. 광주과학기술원(광주과기원) 윤명한·이광희 교수 공동연구팀은 심장 조직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기반의 고성능,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이 남긴 21세기 이론 물리
2018.04.12
남은 하나는 블랙홀을 벗어날 수 있다.이 때 블랙홀은 입자-반입자 쌍을 깨는데에 너지를
소모
해 질량이줄어든다. - 과학동아 4월호 제공 2004년에 호킹 본인이 인정했듯이, 그 결론은 후자의 승리로 끝났다. 이는 1980년대 초에 양자역학적인 중력을 구현한 초끈이론이 출현한 것과, 1990년대에 최소한 ... ...
차세대 M램 소재 개발...전원 꺼져도 작업 내용 날릴 걱정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1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저장하거나 지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력
소모
량이 크게 줄어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전자기기, 사물인터넷용 메모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이경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스핀전류의 동작 방향을 제어할 수 있음을 이론 및 실험으로 규명했다”며 ... ...
배터리 필요 없는 초박형 피부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05
수 있다. 또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안테나 전자기파에서 얻을 수 있을 정도로 전력
소모
가 적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갖고 있으면 센서는 스마트폰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받아 구동된다. 측정한 생체 정보는 무선 통신으로 보내져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